거제 다대산성(多大山城)은 경남 거제시 남부면 다대리에 자리하고 있는 고대산성이다.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지만 지표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면석을 벽돌처럼 납작하고 길쭉하게 가공하여 한단한단 바른층쌓기 방식으로 축조하였다. 둘째, 성벽의 하단부에는 기저부보축의 흔적이 남아 있다. 셋째, 북문과 남문이 현문식(懸門式)이다. 넷째, 성문의 출입구 측벽과 성벽 외벽은 곡선으로 연결된다. 다섯째, 성문 안쪽에는 내옹성의 흔적이 있다. 다대산성이 자리한 거제지역은 신라 문무왕이 처음으로 상군(裳郡)과 3개의 현(縣)을 설치한곳이다. 따라서 다대산성이 갖고 있는 이러한 특징은 신라산성의 특징으로 보아도 좋지 않을까한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백제산성, 혹은 백제산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아왔던 산성중에는 오히려 신라산성과 친연성이 더 큰 산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다대산성은 명칭이나 수습유물, 그리고 산성의 평면형태 등을 고려해 볼 때 이 지역에있었다고 하는 신라 송변현(松邊縣)의 치소성(治所城)이 아닐까 한다.
Dadaesanseong Fortress, which is located in Dadae-ri, Nambu-myeon, Geoje-si, Gyeongsangnam-do, was identified as following facts through the archaeological field survey not the excavation. First, the fortress was constructed by range works using flat and long stones like a brick. Second, a vestige of reinforced embankment remains in the lower section. Third, the north and south gates are a suspensory style. Fourth, the side walls of the gates and the external walls of ramparts are connected showing curvilinear form. Fifth, a vestige interior barbican remains inside the gate. Geoje region with the Dadaesanseong Fortress had established the Sanggun(裳郡) county and three villages. Accordingly, it could be said that thus features were similar to the mountain fortress of the Silla. Therefore, the mountain fortresses of Baekje are much closer to ones of the Silla. In addition, I think the Dadaesanseong Fortress is governing fortress in the Songbyunhyun(松邊縣) village of the Silla considering the name, collected artifacts, and a plane shape of the fortress.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다대산성의 현황
Ⅲ. 성벽의 축성법
Ⅳ. 부대시설의 특징과 그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