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통일 대비 활발한 출판교류를 위하여 북한 출판사상의 기원및 북한 출판물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의 출판 사상은 김일성 주체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으며, 북한 출판물은 북한 공산당 정책의 선전 도구 또는 통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또한 북한 출판물의 내용적 특징으로 주요 요소는 김일성 우상화, 혁명 전통 사상 등이었으며, 외형적인 특징의 수준은 매우 낮았다. 결론적으로 북한의 출판은 고질화된 이념과 사상을 전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민간 인들의 힘만으로는 교류의 한계가 있으며 정부차원의 지원과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features of publishing, and the origin of publishing ideology in North Korea for vigorous publishing interchange with North Korea in case of the Unification. The research shows ideology of publishing in North Korea is originated on Juche Idea which is North Korean communism based on communism theory and idea. Moreover, because publications are based on ideology, those are not for profits as in the capitalist system but used as means of propaganda. Therefore, publications of North Korea are focused on idolizing Kim Il Sung and revolution ideas. The outer features show low quality compared to South Korea but due to strict censorship, publications are made without misprint. Through this study, it is clear that the publishing in North Korea is based on thoughts and ideology and because of that, there is a limit to interchange in civilian bases. Governmental support and cooperation is of the essence.
1. 서론
2. 북한 출판 사상의 기원
3. 북한의 출판사상과 출판물의 특징
4.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