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 러 국경지역의 변화
Changing border regions between China and Russia
-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 이순신연구논총
- 제3호
-
2004.121 - 14 (14 pages)
- 30

중-소간 오랜 갈등의 소지였던 국경선 협상은 1980년 중반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등장으로 물꼬를 트기 시작했다. 1989년 5월 고르바초프의 베이징 정상회담에서 국경 지역에서 신뢰구축 분위기가 조성되기 시작했고 탈냉전기의 수십 년 간 폐쇄되었던 국경선은 1992년 3월 5일 베이징에서 서명한 중-러 간 “무역과 경제 협력을 위한 협정” 체결로 공식적인 양국 국민들의 출입이 허용되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러시아 극동지역으로의 대규모 중국인 이주현상이 나타났다. 이런 중국인의 대규모 이주는 1990년 초 이래로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심지어 극동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불법 중국인 체류 문제는 정치 사회적인 문제로 불거지기 시작했다. 따라서 극동의 정치지도자들과 러시아인들은 몰려드는 중국인들에 대해서 불만을 표시하기 시작했다. 중국인들과의 경제협력 증진으로 발생하는 이익도 컸지만 러시아인들은 그들의 남쪽 이웃인 중국인들에게 적대적인 성향을 가지게 충분하였다. 중국인들과의 경제적 협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익도 있었지만 러시아인들은 그들의 남쪽 이웃에게 아직도 적대적인 성향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변화에 대한 학자와 관료들의 견해와 중국인들의 이주 규모와 증가하는 주요 요인은 무엇인지? 이에 대한 극동정부와연방정부의 정책은 무엇이었는가? 불법 중국인들에 의해서 초래된 문제는 무엇이었는지? 양국 정부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 어떤 외교적 접촉과 협상을 모색했는지? 따라서 본 논문은 러시아 연방의 체제 이행기인1990년부터1998년을 중심으로 극동지역으로의 대규모 중국인 이주와 정착과 활동과 이에 대한 러시아 연방정부의 정책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al with the questions of the Chinese migration to and economic activities in the Russian Far East. In the early 1990s the border between Russia and Northern China became open in order to promote an economic relationship by gaining from the development of border trade and direct contact with neighbouring Chinese provinces. However, due to its geographical proximity to Russia, it has resulted in a massive Chinese migration to the RFE and also experienced a shortage of labour and the Chinese provided contract workers to fill this need. However, some negative side effects of this included the massive influx into Russia of Chinese immigrants. Many of these immigrants were in fact illegal and some brought with them criminal activities, such as the smuggling of drugs. Nonetheless, in order to promote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ir border regions, both Russia and China have been working together to construct good relations with the support of the national and regional governments. Both the southern part of the RFE and the northern Chinese regions are making increasing efforts to ensure that a good relationship has maintained.
Ⅰ. 머리말 : 탈 냉전기 중 ․ 러 국경개방
Ⅱ. 러시아 극동지역의 인구변동
Ⅲ. 중국인 이주의 주요요인 분석과 연방정부 정책
Ⅳ. 맺음말 : 갈등에서 협력으로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