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루즈벨트와 미국의 국제주의로의 전환: 국내외 상황, 여론, 리더십

Franklin D. Roosevelt and U.S.’s Turn to Internationalism: Sequence, Public Opinion, and Presidential Leadership

  • 458

제2차 세계대전 참전을 통해 미국이 국제주의로 전환한 데에는 무엇보다도 국내외적 상황과 여론을 정확히 읽고 조심스럽게 국제주의의 경로로 유도해 간 루즈벨트 대통령의 리더십이 주효했다. 이 글은 미국을 국제주의로 이끈 국제적 상황을 세 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개관하면서 이러한 상황에서 여론의 동향변화를 설명하고, 동시에 이를 적절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었던 루즈벨트 대통령의 리더십에 대해서 서술해 보고자 한다. 이 글이 내용상 구분한 첫 번째 시기는 루즈벨트 대통령이 1932년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1937년에 이르기까지의 시기로서, 대체로 미국이 국제문제, 특히 유럽의 문제에 대한 불개입 정책을 고수한 시기를 망라하고 있다. 두 번째 시기는 1937년 부터 1939년까지의 시기로서 대체로 미국이 독일의 공격을 제한하려는 노력을 보이 면서 동시에 총체적 개입이나 결정적 공약은 자체하는 단계로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1939년부터 1941년까지의 시기는 미국이 상존하는 고립주의적 정서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외교정책으로서의 고립주의를 서서히 포기하면서 준전시 상황으로 진입하여 진주만 공격을 맞게 되는 상황에 이르는 기간이 다. 미국을 고립주의에서 국제주의로 이끈 루즈벨트 리더십은 국내외 상황을 적절히 활용한 기민하면서도 신중한 리더십이었다고 생각된다. 국내 여론의 고립주의 정서의 틀을 벗어나 성급하게 국제주의로 전환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여론의 역풍을 고려하 여, 루즈벨트는 주어진 국내적 여건을 충분히 인지하면서도 이러한 한계 내에서 취할수 있는 대외정책 공약을 최대한 제공하였 다. 이는 결국 세계정세의 변화에서 절연된 상태로 미국의 안보와 국가이익이 보장될수 없다는 루즈벨트의 현실주의적 상황판단과 정치지도자로서의 여론감지능력이 적절히 조화되어 나타난 반응이었다. 그는 동시에 국제적인 상황의 변화나 미국의 국가이 익에 침해가 될 만한 상황이 나타나면 적극 적으로 여론의 반향을 탐색하면서 자신이 취할 수 있는 정책을 준비해 나갔고, 결정 적인 계기가 주어질 경우 준비된 정책이나 이니셔티브를 여론 및 정치엘리트들과 조율 하면서 정책 혁신을 위한 기회의 창으로 만들어 나갔다.

It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that Franklin D. Roosevelt’s leadership played the prime role in getting the United States to break away from traditional isolationism and to participate in the World War Ⅱ. Given this premise, this article aims at describing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FDR’s presidential leadership, putting the international circumstances from 1933 through 1941 in perspective. FDR’s successful leadership was such a shrewd and prudent one that he was able to take full advantage of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parameters. He was able to give limited but appropriate commitment to internationalism faced with German offensive in Europe and the Atlantic, while taking every effort to avoid the criticism of the public opinion and Congress on his internationalist tendency until the Japanese attack on the Pearl Harbor. FDR’s prudent path toward internationalism was a mixed outcome of his political realism that the national security of the United States could not be guaranteed without her active involvement and of his political sense that the active involvement in world affairs, in its turn, needed strong domestic public support as a prerequisite.

Ⅰ. 들어가는 말

Ⅱ. 불개입 정책(non-involvement policy): 1933-1937

Ⅲ. 과도개입 자제 및 독일의 공세 저지 정책: 1937-1939

Ⅳ. 준참전(準參戰)적 원조: 1939-1941

Ⅴ. 맺는말: 루즈벨트 리더십의 특징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