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중국 고유의 판타지 캐릭터인 神仙에 대한 궁금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長生不死에 대한 인간 욕망이 만들어낸 ‘仙’이라는 존재는 고대 중국에서는 인간 수명의 한계를 넘어 도달하고자 하는 이상적인 존재로 문학작품에 등장해왔으며, 판타지가 주류를 이루게 된 21세기 인터넷 소설에서는 중국 전통 판타지의 주인공으로 다시 부활하였다. 고대 중국의 遊仙文學 작품 속에서 ‘仙’의 모습과 ‘仙’이 되기 위한 ‘遊仙’ 행위는 魏晉南北朝와 唐代를 기점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즉, 이상적인 존재에서 현실적인 존재로, 또 이들의 공간인 仙境 역시 이상세계에서 현실세계로 현세화ㆍ인간화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는 고대 중국에서 ‘仙’의 기원과 다양한 모습, 그리고 遊仙 행위의 기원과 시대에 따른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아울러 21세기 중국의 인터넷 소설에서 주류로 자리 잡은 중국식 판타지인 玄幻小說의 대표적 작품들의 분석을 통하여, 이들 작품 속에서 다시 부활한 신선들의 세계와 이야기가 고대 중국의 유선문학 작품 속에서의 모습을 어떻게 계승하고 있는지, 혹은 현대의 과학기술과 서구 판타지 서사 등의 영향을 받아 변용된 것들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began with a curiosity about the Chinese fantasy character, 神仙(an Immortal). The existence of an Immortal created by human desire for immortality has appeared in literary works as an ideal being to reach beyond the limits of human life in ancient China. And in the 21st century Internet novel where fantasy became mainstream, it revived again as the protagonist of Chinese traditional fantasy story. In the ancient Chinese seeking-immortal literature, the image of immortal and to become immortal show the changing aspect from the beginning of the Wei-jin Dynasty and the Tang Dynasty. In other words, it shows the tendency that from the ideal of being to the realistic being, and the space of immortal land also become a part of the real world from the ideal world. This paper examines the origins and various forms of immortal and seeking immortal in ancient China, in addition, through analyzing the representative works of Xuanhuan Xiaoshuo, a Chinese fantasy set as the mainstream in the Internet novels of the 21st century, and consider how are the worlds and stories of the immortal inherited in the works of ancient Chinese literature in these works or what are trans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Western fantasy narrative.
국문제요
1. 들어가며
2. ‘仙’과 ‘遊’, 그리고 ‘遊仙’
3. 遊仙의 형태와 지향 공간
4. 神仙 소재 玄幻小說에서의 계승과 변용 양상
5. 나가며
<參考文獻>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