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과체중 및 비만 남자 청소년의 학교체육수업 참여정도와 신체활동 및 좌식행동, 주관적 건강인지와의 관련성

Relationships among physical education clas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factor in male adolescents

  • 357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과체중 및 비만 남자 청소년들의 학교체육 수업의 참여 정도와 신체활동 및 좌식행동, 주관적 건강인지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2016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조사대상 과체중 및 비만 남자 청소년들의 경우 신체활동량이 매우 부족하였고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많았으며 학교체육수업에 소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평소 규칙적인 신체활동 및 좌식행동 지침을 실천하는 비만 청소년들은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학교체육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은 격렬한 운동과 근력운동의 실천율이 높았으며 스포츠활동 팀 수가 많 았다. 또한 학교체육수업 참여 횟수에 따라 좌식행동 시간 및 인터넷 사용 시간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긍정적 건강상태 및 행복감, 수면에 대한 충족감을 느낄 확률이 높았다. 반면 평소에 스트레스를 적게 느끼고 우울감에 대한 경험은 적었다. 이를 통해 학교체육수업의 적극적인 참여는 다양한 신체활동을 규칙적으로 실천하는 습관형성 및 좌식활동량 감소를 통해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체육수업에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체육교사 및 관련 지도자의 지속적인 노력 및 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in overweight and obese male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related factors depending on participation level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school. Data from the 2016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Overweight and obese male students showed lower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in school but had higher sedentary behavior. Students who practice all of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guidelines showed higher rate of better self-rated health perception,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and lower stress. Obese male student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 had higher practice rate of vigorous and resistance exercise and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And they had lower sedentary behavior and internet using time and felt less stress and depres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actively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had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in adolescents. Therefor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relevant leaders should be developed strategy and programs to help adolescents participate actively in physical education clas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