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품질표준 기반의 지적정보 품질평가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Cadastral Information the based on the ISO Quality Standards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4권 제1호
-
2018.0469 - 76 (8 pages)
- 251

제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여 공간정보는 데이터의 공유 및 교환 확대로 데이터 품질에 대한 가치와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향후 공간 데이터와 연계한 다양한 융복합 서비스의 요구에 부합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품질의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공간 데이터셋을 교환하고 공유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지적정보는 이전에 비해 다양한 많은 분야에서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비해 전산화된 지적정보의 품질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종이 지적도를 작성하는 생산자 기반의 지적측량성과 위주의 위치 정확성만 제시하고 있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적정보의 개념을 이해하고, 공간정보 분야에서 품질에 대한 개념과 품질표준에서 제안하는 품질요소의 종류를 기반으로 하여 우리나라 지적정보의 품질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Spatial Information affected by the 4th Industry renovation has been emphasized on the value and necessity for the data quality for sharing and exchange of Spatial data. In the future based on the spatial data of the high quality for the sake of adapting the demands of the diverse convergence services integrated of the those data have to use the several aspects for sharing and exchange the spatial data sets. However the cadastral information, until now, has the lack of the spatial position using by the cadastral surveying results notwithstanding the availability of cadastral data has been increased from the various fields. Thus this paper focuses on the improvements of cadastral data quality based on the ISO 19157 and the concepts of the quality in th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1. 서 론
2. 지적정보의 개념
3. 공간정보 품질 표준
4. 지적정보 품질 평가 개선 방안
5.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