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재조사사업 수행을 위한 전문 인력의 수요예측
The Prediction of Demand for Professional Workforce to Perform Cadastral Resurvey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4권 제1호
-
2018.04121 - 131 (11 pages)
- 276

지적재조사사업은 2030년까지 전국토의 불부합지 542만필지에 대하여 직접 측량을 수행하여 디지털 지적으로 전환하는 국가적 사업이다. 지적재조사사업은 1개 사업지구에 대한 수행기간이 평균 2년 정도 소요되며, 착수부터 완료단계까지 연속적으로 각 단계별 전문적 업무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사업이다. 따라서, 지적재조사사업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많은 재조사 수행 전문 인력이 필요하며, 전문 인력의 양성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수요와 공급의 예측이 요구된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지적재조사 수행에 따른 인력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최근 사업 수행 결과와 전문 인력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2차 지적재조사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지적재조사사업 수행에 필요한 실질적인 전문인력 수요를 예측한다.
The cadastral reform project is a national project that conducts direct survey and converts to digital cadastral data of 542 million lot of the national territory until 2030. The cadastral reform project takes an average of two years to perform in one business district, and it is a business that requires continuity from beginning to completion, and professional work at each stage should be organized organically. Therefore, many reform specialists are needed to complete the cadastral reform project. Demand and supply forecasts are required to establish a plan for raising professional workers.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training the manpower for conducting the cadastral reform, and do not reflect the recent results of the project and the change of the professional manpower. This study predicts the actual demand of professional manpower needed to carry out the cadastral reform project based on the second cadastral reform plan.
1. 서 론
2. 지적재조사 전문인력 공급 현황
3. 전문인력 1인당 수행 필지
4. 사업 수행 전문인력 수요예측
5.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