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0684.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제 전시체제기 朝鮮林業開發株式會社의 설립과 운영

A study of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Joseon Forestry Development Company in the war time(1937~1945)

DOI : 10.18347/hufshis.2018.66.123
  • 324

본고는 朝鮮林業開發株式會社의 설립과정과 운영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조선임업개발은 전시체제기 목재 수요가 늘어나면서 用材林을 조성하고 民林業을 개발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책회사였다. 조선임업개발은 東拓, 王子, 三菱, 三井, 住友, 日窒, 第一生命 등 일본 독점재벌이 대주주로 참여하였고, 소주주들도 산림경영에 참여하거나 목재, 제지업 분야에 종사하는 지주 및 자본가들로 망라되어 있었다. 조선임업개발은 조선총독부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대자본이 출자하여 만들어졌지만, 조선총독부가 운영 전반을 감독 통제함으로써 경영의 자율성을 보장받지 못했다. 조선임업개발은 전시체제기 국유림 대부를 독점하였고, 민유림도 수탁경영함으로써 산림경영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릴 수 있었다. 전쟁 확대와 장기화로 목재와 기타 임산물의 수요가 급증하자 조선임업개발은 일제의 전시체제에 협력하면서 벌목과 연료사업에 적극 진출하였다. 이로 인해 예상 영업수지와 달리 1940년부터 영업이익이 늘어났으며, 이는 독점재벌의 이윤창출에 기여했다. 이러한 영업이익의 확대는 벌목사업으로의 전환도 있었지만, 사업에 소요되는 막대한 노동력을 조선인 저임금 노동과 애국반과 같은 자발성을 빙자한 강제 동원으로 충당했기 때문이었다. 조선임업개발은 전시체제의 특수성을 가장 잘 반영한 회사였다. 조선총독부는 재정이 부족한 상황에서 조림사업과 用材林을 조성하기 위해 민간자본을 끌어들여 최소한의 자본금으로 이익을 보장해 주었고, 조선인을 강제 동원하여 사업에 드는 임금을 최소화하면서 전시체제에 필요한 조림사업과 목재수요를 충당해 나갔다. 해방 후 조선임업개발은 1949년 大韓林業開發株式會社로 회사명을 변경하여 운영되다가 청산절차를 밟아 1981년 최종 해체되었다.

This study is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management of the Joseon Forestry Development Co. The company was a nationally-owned company created to create a timber forest and develop forestry. The company was a major shareholder of Japan s exclusive conglomerates such as 東拓, 王子, 三菱, 三井, 住友, 日窒, 第一生命. Minority shareholders were also involved in forest management or as landowners and capitalists in the wood and paper industries. The company was made with large capital contributed under the active support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id not guarantee the autonomy of management by supervis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The Joseon Forestry Development Co. monopolized the National Forest Loan and commissioned the private forest. This allowed them to enjoy a monopolistic position in forest management. Demand for timber and forest products has surged due to the expansion and prolongation of the war time. The company actively participated in logging and fuel business in cooperation with on the war basis. As a result, operating profits increased and contributed to the monopoly profits. Another reason for the increase in operating profit was that the huge labor costs required for the business were saved by low-wage labor and forced mobilization such as patriotic groups(愛國班). The Joseon Forestry Development Co. was the company that best reflected the peculiarities of on the war basis. Th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ttracted private capital in order to create afforestation business and timber forest in the face of lack of finance and guaranteed profit with minimum capital.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orced the Koreans to minimize their wages. Through thi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able to meet the demand for afforestation and timber for the war time. After liberation(1945), the company changed its name to the Korea Forestry Development Co. in 1949. It was finally dissolved in 1981 following the liquidation procedure.

Ⅰ. 머리말

Ⅱ. 조선임업개발의 설립과 구성

Ⅲ. 조선임업개발의 산림운영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