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um modernen Verständnis von Kindheit aus historischer Perspektive
역사적 관점에서 본 근대적 아동기 개념 이해
- 한독교육학회
- 교육의 이론과 실천
- 제19권 제2호
-
2014.08123 - 145 (23 pages)
- 117

Diese Arbeit wird unter Bezugnahme der Historiker Philippe Aries, Lloyd de Mause und Hans-Joachim Heydorn der Frage nachgegangen, wie das moderne kulturelle Verstandnis von Kindheit sich historisch entwickelt hat. Dabei handelt es sich um verschiedene Perspektiven, die gesondert auf einzelne Aspekte der “Geschichte der Kindheit” eingehen und sich zum Teil erganzen. Dadurch zielt diese Arbeit darauf, zur Erweiterung der historischen Perspektiven auf Kindheit beizutragen. Aries behandelt die Geschichte der Kindheit unter dem Aspekt des politischen und ideengeschichtlichen Wandels und sieht Kindheit als ein historisches Kulturprodukt, fur es die Entstehung der modernen Kleinfamilie im 17. Jahrhundert und die Ausweitung der Schule eine wichtige Rolle spielten. Dagegen betont De Mause aus “psychogenetischer” Perspektive, dass der Ruckgang der physischen und psychischen Gewalt gegenuber dem Kind auf einer stetigen Zunahme von Empathie und damit der zunehmenden psychologischen Reife der Eltern beruht. Andererseits entfaltet Heydorn die Entdeckung der Kindheit als die Sehnsucht nach der “verlorenen Unschuld” in der forschreitenden Kapitalisierung der Gesellschaft. So lasst sich der Schluss ziehen, dass sich die Perspektive auf Kind vom “unfertigen Erwachsenen” zur kindlichen Unschuld und schließlich zu einer burgerlichen Sehnsucht nach Gluck entwickelt.
이 논문의 목적은 프랑스 사학자 필립 아리에스, 로이드 드 모스, 독일 교육학자 한스 요하임 하이돈의 이론을 정리해 냄으로써 근대적 아동기 개념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때 아동기 역사와 관련된 각각의 측면을 살펴보고 다양한 역사적 관점하에서 아동기 개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근대적 아동기에 대한 역사적 이해가 좀 더 폭 넓은 시각에서 다뤄지고 역사수업 현장에서도 적용되기를 기대해본다. 드 모스는 심리발생적 관점에서 아동기에 대한 서양역사를 조명하였는데, 부모의 자식에 대한 육체적, 정신적 폭력의 감소는 부모의 심리가 성숙되고 공감 능력이 꾸준히 증가하는 데 기인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세계를 어린이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의미한다. 이와 달리 아리에스는 아동기의 역사를 정치적, 이념사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오늘날 어린이와 아동기에 대한 우리의 의식과 태도가 중세 말부터 서서히 형성되어 18세기에 들어와서 ‘탄생’된 역사적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이때 학교와 핵가족의 형성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밝히고 있다. 순수한 존재로서의 어린이들을 보호하고 도덕적으로 바르게 자라도록 하기 위해 어른들의 세계로부터 격리시켜 교육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생겼다. 중세까지 보편적이던 공동체 중심의 어린이들의 생활은 가족구성원들 간의 친밀감이 형성되는 사적 공간으로서의 근대적 가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렇게 형성된 근대 가족은 교육의 장이 되었고, 이것은 아동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하이돈은 사회비판적 관점에서 오늘날 아동기 의식은 종교개혁을 통해 인간이 현세에 관심을 두게 되고 도덕적 엄격성과 같은 시민적 덕이 중요하게 된 역사적 맥락에서 탄생하였음을 주장한다. 이런 맥락에서 하이돈은 아동기의 발견을 사회가 자본주의화 되고 인간이 소외되는 사회 속에서 ‘잃어버린 순수함’에 대한 시민사회 구성원의 동경으로서 이해하고 있다. 이 논문의 결론으로써 아동에 대한 이해는 ‘덜 자란 성인’에서 ‘천진난만함’ 그리고 시민사회에서 행복을 동경하고 소망하는 개인들의 표현으로 발전되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I. Einleitung
II. Die Entdeckung der Kindheit aus psychogenetischer Perspektive
III. Philippe Aries: Die Entdeckung der Kindheit
IV. Kennzeichnen des Andersseins
V. Schlussbemerkung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