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의 ‘타자’, ‘가나안 여자’ 이야기(마태 15,21-28)
The Story of the Canaanite Woman(Mt. 15,21-28), the ‘Other’ in Our Society
-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신학과철학
- 신학과철학 제32호
-
2018.0595 - 123 (29 pages)
- 97

마태오의 ‘가나안 여자’는 인류 역사에서 ‘우리’ 집단에서 배제되는 차별받는 ‘타자’로서, 인류 역사에서 여러 형태로 그 모습을 드러내며 하나의 상징임을 보여준다. 이에 본고는 예수시대의 가나안 여자 이야기와 현대의 ‘타자/소수자’ 문제를 함께 읽고 성찰하는 작업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마태오의 가나안 여자의 이야기(15,21-28)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나안 여자와의 대화를 통해 드러난 예수의 모습은 당시 유다교의 이스라엘 우선적인 구원개념을 대표한다. 메시아 활동의 우선권은 유다인에 한정된다. 그러나 이민족 가나안 여자의 주체적이며 능동적인 도전에 의해, 예수는 이민족을 향한 하느님의 구원계획을 인식하게 된다. 유다인 그리스도인들과 이민족 출신 그리스도인들로 이루어진 마태오 공동체에서, 이 본문은 유다인과 이민족이 왜 또는 어떻게 하느님의 자녀로서 하나가 될 수 있는가를 설명해준다. ‘우리’와 반대되는 ‘타자’의 상징인 가나안 여자를 통하여 마태오는 하느님 나라는 유다인과 이민족, 정결한 사람과 부정한 사람, 남자와 여자 모든 이의 것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자국민 최우선주의나 배타주의적 태도는 ‘협업’과 ‘수평적 사회’가 강조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나 고령화와 경제활동인구가 급감하고 있는 한국 상황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자세이다. 본고에서 고찰한 가나안 여자 이야기는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려주고 있다. 곧, 가나안 여자와 예수의 대화에서 드러난 주류 집단과 주변인의 관계에서 공감과 인식의 변화는 오늘 우리에게도 의미심장하다. 하느님 나라에는 ‘우리’에서 배제되는 ‘타자’가 없다.
The Canaanite woman of Matthew was shown to be an ‘other’ that was discriminated against the ‘we’ group in various forms throughout human history, and showed that it was a symbol, not a person of history. In this paper, we recogniz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mparative reading and reflecting on the Canaanite story of Jesus’ time with the contemporary ‘minority’ problem, and examined the story of Matthew’s Canaanite woman(15,21-28).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dialogue between Jesus and the Canaanite woman revealed the concept of salvation represented in Israel at the time. The priority of the activity of the Messiah was limited to the Jews. However, by the subjective and active challenge of the Canaanite woman, Jesus recognized God’s plan of salvation for the nations. In the Matthew’s community, this text suggests why and how the Jewish and ethnic christians can be united as the children of God. Through the Canaanite woman, a symbol of the ‘other’ as opposed to ‘we’, Matthew intends to show that the kingdom of God is of Jews and nations, the clean and the unclean, male and female. Nationalism and exclusivism are not in harmony wit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emphasizes ‘collaboration’ and ‘horizontal society’. The Canaanite story tells us the direction we ought to take at present situation. Formation of empathy and change of perce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stream group and the marginalized revealed in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Canaanite woman and Jesus is also significant to us today. There is no “other” in the kingdom of God.
서론
1. 연구본문 살펴보기
2. 한국의 소수자 문제
3. 연구본문과 한국의 소수자 문제 함께 읽기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