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인지시학적 시각으로 본 김소월 시세계

The Poetic World of Kim So-Wol in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Poetics

  • 513
141016.jpg

본고는 『인지시학개론』에 나타난 논점을 바탕으로 김소월 시집 중의 다섯 편 시를 골라서 분석하였다. 『인지시학개론』은 문학과 언어에 대한 새로운 인지적 사고방식과 개념을 통하여 문학작품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다룬 책이다. 이 책은 전경화, 의인화, 공간적 지식, 유추, 은유, 비유 등등 전문적 개념을 등장하고 자세히 설명하였다. 김소월 시에 있어서 꽃, 풀, 산, 길 등의 자연 이미지가 많이 나타났다. 꽃, 풀, 산 등 자연 이미지를 통해 김소월의 시를 분석하고 연구하는 논문이 많이 있지만 인지적 접근법을 바탕으로 해석하는 논문이 너무 드물다. 그러므로 본고는 『인지시학개론』에 나타난 중요한 관점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김소월의 시를 해석하고 연구하였다.

This paper selected and analyzed five poems out of poetical works by Kim So-Wol based on the point shown in 『The Introduction to Cognitive Poetics』. 『The Introduction to Cognitive Poetics』 is a book handling the methods of understanding/analyzing literary works through the new cognitive ways of thinking and concept of literature and language. This book concretely explained the specialized concepts like foregrounding, personification, spatial knowledge, inference, metaphor, and comparison. Kim So-Wol s poems showed many natural images like flower, grass, and mountain. Even though there have been many papers analyzing/studying Kim So-Wol s poems through natural images like flower, grass, and mountain, it is rare to find theses interpreting them based on the cognitive approach method. Thus, this paper briefly explained the important perspective shown in 『The Introduction to Cognitive Poetics』, and then interpreted and studied Kim So-Wol s poems based on it.

1. 서론

2. 『인지시학개론』을 기반한 이론적 배경

3. 『인지시학개론』을 통해서 본 김소월 시

4.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