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환단고기』의 발행과 내용 구성의 특징

Publi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of 『Hwandangogi 』

  • 256
커버이미지 없음

『환단고기』는 원본이 없어 위서라는 딱지를 붙여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 출판관계 사항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고 하더라도 발행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정황을 살펴보면, 일부 가필이 되었을 가능성은 있지만, 전체 내용이 최근에 창작된 위서라고 볼 수는 없다. 반면, 그 내용은 매우 가치가 있다. 먼저, 우리 역사의 주체인 민족의 이름과 형성시기를 정확하게 기술하고 있는 유일한 사서다. 둘째, 민족의 정체성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겨레 얼의 원형을 간직한 우리 민족의 창세신화가 들어있다. 셋째, 구석기-신석기라는 주류사학계의 선사시대구분을 능가하는 서술 순서다. 넷째, 역사의 원동력인 겨레 얼을 함께, 자세하게 기술 하고 있다. 다섯째, 우리 사서에서 이름만 있고 내용이 없어진 많은 고기류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여섯째, 서로 다른 여러 사서들의 내용을 설명 또는 보완해준다. 따라서 명확한 증거 없이 위서라고 팽개치지 말고, 가치 있는 내용을 찾아 우리 역사와 겨레 얼을 복원하는데 적극 활용해야 한다.

Regretfully, 『Hwandangogi』 is considered to be a pseudograph because there is no original copy of this book. There’s not much information about its publication process. Considering the surroundings of the publication, however, some contents might be revised but it is hard to say this book is a total pseudograph and the whole contents is created recently. Contrary to that, the content is very valuable. Firstly, it is the only history book that describes Korean people’s name and the time of formation which is the main agent of Korean history. Secondly, this book includes the myth of the creation of Korean people which is the identity of the people and keeps the original form of Korean spirit. Thirdly, it narrates history beyond the paleolith-neolith which is the main historians’ prehistory. Fourthly, it describes Korean spirit, driving power of history, in much detail. Fifthly, it introduces the contents of many of old records while other Korean history books only presents names. Sixthly, it explains or complements many other history books. Therefore 『Hwandangogi』 should not be disregarded because it’s considered pseudograph and needs to be embraced to recover Korean history and Korean spirit through recognition of valuable contents.

Ⅰ. 들어가는 말

Ⅱ. 나와 이유립 선생

Ⅲ. 환단고기의 출판과 이유립

Ⅳ. 위서론 시비에 대한 의견

Ⅴ. 환단고기 내용의 특징

Ⅵ. 나오는 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