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단고기는 안함로의 삼성기, 원동중의 삼성기, 이암의 단군세기 , 범장의 북부여기 , 이맥의 태백일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단고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역사서를 저술한 저자들은 그 이전의 여러 역사서들을 인용하고 있다. 그런데 각 역사서를 저술할 당시에는 존재했던 인용서들이 조선 초기 수서령과 전란 및 일제의 수탈로 모두 사라져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인용서의 정체와 저자 및 저술 년대 등의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환단고기의 각 역사서에 인용된 사서들 중에서 고기와 조대기, 삼성밀기에서 인용된 내용들을 비교분석하여 그 각각의 특징을 상호 대비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특히 삼국유사의 고기 인용문과 환단고기에 인용된 고기를 상호 비교하여 두 사서가 서로 다른 사서임을 밝혔고, 암함로의 삼성기는 비록 인용문은 없지만 여러 사서를 참고하여 저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Hwandangogi consists of the Samseonggi I by An-ham-ro, the Samseonggi II by Won Dong-jung, the Dangunsegi by Yi Am, the Bukbuyeogi by Beom Jang, and the Taebaekilsa by Yi Maek. These authors of the constituent books of the Hwandangogi cited various historical texts that had existed prior to their respective eras. However, the edict of censorship and confisc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upheaval of war, and the exploitation by Imperial Japan caused these texts of reference existed at the time they were cited to be lost permanently: They are all missing today. So, regarding the quoted books, questions has been raised on their identities, authors, time of writing and so forth.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Gogi, the Jodaegi, the Samseongmilgi cited in the Hwandangogi, this thesis explains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Especially, concerning the Gogi cited in the Samguk Yusa and the Gogi cited in the Hwandangogi, this study reveals by comparison analysis that they are two different historical texts. Furthermore, this thesis ascertains that An-ham-ro’s Samseonggi I, which does not contain any quoted passage in it, was created in consultation with various historical books.
Ⅰ. 들어가는 말
Ⅱ. 역사 서술의 다양한 방식들
Ⅲ.『환단고기』와 그에 인용된 역사서들
Ⅳ.『환단고기』각 편에 인용된 역사서들의 내용비교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