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단사학계와 민족사학례의 대립이 첨예화되어 있다. 그 원인인 강단사학 계의 “식민사관”과 “사대사관”이 현대 국민/민족국가이전의 16세기적 인생관과 당 =시의 근본주의/원리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데 기인한다. 강단사학계가 주장하는 실증주의란 19세기 과학철학의 논리 실증주의이며 그 배경은 고전물리학을 완성한 뉴톤의 혁명적 이론과 고대 희랍부터 계승되어 중세의 교부의 신앙이라는 고압적이고 권위주의적 지식체계에서 서서히 이성적 판단의 틈을 벌여온 토마스 아퀴나스와 데카르트에 의한 이성의 시대가 배경이다. 개인의 판단을 중시하던 시대가 전개되었으며 이것이 베이컨의 귀납적 논리체계와 연이은 경험철학의 전개로 20세기 21세기의 과학철학은 더욱 개방적이 되었고 “전문가”의 독주가 부당하다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즉 강단사학계는 중세적 인식론에서 탈피하여 국사연구와 교육의 독점이라는 근본주의/원리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을 논하고 있다.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een an essential elements of the western philosophy from the time of the ancient Greek thinkers, while Asian philosophy mainly Confucian thoughts have centered around ethics. As a result, Asian philosophers especially the Korean neo Confucian thinkers have emphasized Li( 理 , divine truth—ethics) and neglected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se had been related to Li( 利 , selfish human interest) toward the latter part of Yi Dynasty. Scientific philosophy parallel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or mainly to physics,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epistemology, philosophy of science and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Western civilization, centering aroun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has attained remarkable progress since Renaissance and the Age of Reason based largely upon the open and egalitarian epistemology while the Korean Confucian thinkers have prohibited the egalitarian epistemology especially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Yi dynasty in Korea and thus blinded the intellectuals and leaders of the nation. As a result, the contemporary scholars and educators of the Korean history and Korean philosophy are not free from the past and creating many problems of colonialism and flunkeyism. This paper attempts to awaken the Korean history writers to embrace the essence of the 20 Century scientific philosophy oriented empiricism in place of 19 Century logical positivism, and organic world view in stead of machine world view.
제1장 주류 국사학자들의 실증사관은 19세기 과학철학이다.
제2장 주류 국사학자들이 정확한 근현대사를 제대로 전하지 않는 사례들
제3장 19세기 논리 실증주의의 출현 배경과 그 한계점
제4장 결론과 요약: 19세기 과학철학, 논리 실증주의의 한계와 주류 국사학계의 패러다임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