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에너지 엑스선 골밀도 계측기(DXA)를 이용한 골밀도 검사에서 조영제 투여 검사에 따른 오류 방지를 위한 가이드라인(Guideline) 설정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 2018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
2018.03137 - 137 (1 pages)
- 168
목 적:영상의학과에서 진단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조영제는 이중에너지 엑스선 골밀도 측정에서 조영제가 뼈나 연부 조직에 흡수되어 골밀도 측정값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조영제의 배출은 조영제의 종류에 따라 혹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배설 시간과 배출양의 차이를 갖지만 완벽한 배출이 이루어진 후에 골밀도 검사를 하여야 결과분석에서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영제에 관련된 사항들을 정리하고 검사의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준을 확립하여 골밀도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지표를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 및 방법:골밀도 측정에 영향을 주는 조영제 및 조영제에 따른 생물학적 반감기와 유효 반감기 등을 조사하고, 실제 조영제로 인한 골밀도 분석에서의 오류를 파악한 후 검사에 영향이 없는 가능한 시간을 산출하여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결 과:정상 신장 기능을 가진 환자로 가정한 경우 가돌 리늄제제 조영제는 평균적으로 IV주사 후 2시간 이내에 50% 이상, 12시간 내에 주어진 용량의 90% 이상이 소변을 통해 제거됨으로 1일 경과한 후 검사가 가능하며, 요오드제제 조영제의 경우는 24시간 내에 조영제의 90% 이상이 제거됨으로 최소 2일 경과 후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황산바륨은 장기능이 정상인 경우 1주 이내에 제거가 됨으로 1주일 후 검사가 가능하며, 핵의학 검사의 경우 유효 반감기를 고려하여 최소 4 반감기가 지나면 검사가 가능하다. 결 론:골밀도 검사를 시행하기 전 조영제 검사의 유· 무 및 검사명, 조영제의 종류 등을 고려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확인한 후 골밀도 검사를 시행할 경우 조영제마다의 특징을 고려하여 설정된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검사를 한다면 골밀도 검사의 정확도 및 재검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검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 이라 사료된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