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버트리스댐의 최적 스크린 간격에 대한 연구

Study on Optimum Screen Spacing of Buttress Dam

  • 66
141117.jpg

최근 우리나라에서 토석류에 의한 피해가 급증하여 이에 대한 토석류 방호시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 중 투과형 사방댐이 환경훼손이 적어 많이 시공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투과형 사방댐의 경우 토석류의 형태와 스크린의 간격이 투과형 사방댐을 설계함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가 될 것이다. 따라서, 충격하중과 차집률을 고려하여 최적의 스크린 간격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가지 다양한 토석류의 입도분포를 사용하고, 5가지의 다양한 스크린 간격을 고려하여 1/30으로 축소된 실내모형을 제작 및 수행하였다. 실험의 결과, 버트리스댐의 스크린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댐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이 크게 46%까지 감소하였고, 차집률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2가지 영향인자를 고려하여 최적의 스크린 간격을 제안하였다.

Recently, the damage caused by debris flow has increases rapidly in Korea. The research on the protection system for debris flow has been actively studied. In particular, the debris dam has a tendency to be installed much because environmental damage is small. In case of a debris dam, the arrangement and size of screen spacing are an important factor in designing the debris dam. Accordingly, purpose of this study is determining optimum screen spacing based on impact load and capture ratio. And in this study, six debris samples of various particle size distribution were used. The scaled physical modeling experiments reduced to 1/30 were performed considering five different screen spacing. Base on the results, impact load acting on the dam as the screen spacing of the buttress dam increases was reduced by 46%, and capture ratio was affected by that. Accordingly, optimum screen spacing is proposed considering two influencing factors.

Abstract

요지

1. 서론

2. 버트리스댐의 설계방법

3. 버트리스댐의 최적 스크린 간격 산정을 위한 실내실험

4. 버트리스댐의 최적 스크린 간격제안

5. 결론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