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다문화학생들을 위한 과학디지털교과서 구성 원리의 제안 및 교과서 사례 탐색

Developing principles for use of science digital textbooks with Multicultural Students: Cases using Grades 3 and 4 textbooks

  • 296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학생들의 과학학습 기회의 증대를 위하여 디지털교과서의 구성 원리를 제안하고, 구성 원리를 포함한 교과서 사례들을 탐색해 보았다. 먼저, 다문화 배경의 언어학습자들의 교과 학습과 언어학습을 함께 증진하기 위한 수업 모델인 SIOP(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을 바탕으로 다문화학생들을 위한 과학 디지털교과서 구성 원리를 제안하였다. 이 구성 원리를 바탕으로 2015 개정 3-4학년 과학 디지털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교과서는 다양한 표상과 탐구 활동을 제공하는 등 다문화학생들의 과학학습에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과학 내용을 문화적, 언어적 배경 지식과 연관시키지는 못하고 있었으며, 언어학습 측면을 지원하기에는 미비한 점들이 있었다. 이에 디지털교과서의 공간 확장성을 이용하여 다문화학생들의 과학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 하였다. 다양한 문화적, 언어적 배경을 고려한 과학 디지털교과서는 다문화학생들의 과학학습을 증진하고 언어학습을 돕는 교육 자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principles for using digital textbooks to expand science learning opportunit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using the 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SIOP) model. SIOP is a tool for integrating content and language learning for multicultural students. Based on principles adapted from SIOP, we developed a framework for showing how science digital textbooks can play a positive role in presenting science concepts and organizing science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Korea. Specifically, we demonstrate how digital science textbooks, which provide various forms of media representation and in q uiry activities can promot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anguage development. However, our analysis of grades 3 and 4 textbooks found some limitations as it is difficult to relate some scientific knowledge to multicultural students’ diverse backgrounds and there were some limitations for supporting some aspects of language learning. Building from this analysis, the authors propose ways to support science learning for multicultural students by using digital textbooks and we discuss the need to improve features of science digital textbooks to expand their effectiveness as an educational resource that can help multicultrual students learn not only science, but also Korean language.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