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충남 서천군 장항 1지구는 2012년 8월 홍수 시 조위 상승과 내수배제 시설 미비 및 우수관로의 통수능 부족 등의 복합 원인에 의해 침수가 발생한 서해안의 대표적 재해위험지구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장항 1지구에 대한 홍수방어를 위해 우수관로 개선, 우수저류시설 설치, 강제 배제시설(수문 일체형 펌프)도입 방안 등의 구조적 대책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조적 홍수방어대책의 효과 분석은 XP-SWMM을 이용하였다. 먼저, 우수관로 개선은 기 설치된 간선관로의 설계 빈도인 10년 빈도를 30년 빈도로 상향하고 자연배제 조건하에서 우수관로의 통수능을 확보하도록 관로의 규모를 확대하였다. 우수관로 개선 후, 장항 1지구 하류부 기점수위를 삭망평균고조위로 설정하고 홍수방어 대책의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30년 빈도 현 상태의 침수 발생량 32,204㎥ 대비 관로 개선후 침수 발생량은 31,811㎥ (약 1.2% 저감)으로 간선관로를 개량하더라도 외조위 영향으로 인해 홍수조절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우수저류시설 설치는 현장의 여건을 감안하여 장항 1지구에 5,000㎥의 오프라인(off-line)저류조를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우수저류시설 도입에 따른 홍수조절 효과 분석결과, 침수 발생량은 27,041㎥으로 기존 침수 발생량의 16.0%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강제 배제시설(수문 일체형 펌프) 도입은 장항 1지구 방류부에 첨두 홍수량을 제어할 수 있는 11㎥/s의 펌프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이다. 강제 배제시설 도입 후 침수 발생량은 7,520㎥으로 76.6%의 침수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서해안과 같이 조위의 영향이 지배적인 침수의 원인인 지역의 경우 강제 배제시설 → 우수저류시설 → 관로개량 순의로 구조적 대책의 효율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등록된 목차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313)
- 재난안전예산의 배분적 효율성 제고를 위한 투자방향 제시
- IoT 기반 하이브리드 계측시스템 철도현장 적용성 평가
- Rapid Urban Flood Damages Assessment Enabled By Social Media and Online Web Applications
- 개회식/기조강연
- 발표장 오시는 길
- 모시는 글
- 행사개요
- 행사일정
- 압착식조인트가 적용된 파이프라인의 내진성능평가
- Fluent 모형을 이용한 도로에서의 흐름 해석
- 전기방사에 의해 생산된 이형 마이크로섬유의 미세구조 분석
- 단경간 무도상 판형교의 거더-침목 저항력에 따른 장대레일 좌굴 분석
- 포항지역 액상화 그 현장, 그리고 향후 대책
- 포항지진의 특성과 현장경보를 위한 지진 조기경보 활용방안
- W-Shape 단면을 갖는 곡선형 보의 지진 취약도 분석
- 하천유출의 범람 가중효과 검토를 위한 폭풍해일-조석-하천 흐름 결합 모델링
- 기존 산업시설물 내진성능에 대한 해석적 연구
- 도시 풍수해 예방을 위한 도시계획적 대책 추진현황
- 학교시설 재난종별 취약지역의 피해원인분석 연구
- 온도 상승에 따른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복합원인에 의한 홍수 취약성 평가 연구
- 한국의 재난관리조직의 변천과정과 특성 분석
- 지진방재계획을 위한 재해 대비 요소 도출 및 중요도 평가
- 설계화재를 위한 화재시나리오 분석
- 풍해로 인한 학교시설의 재난 발생 분석 연구
- Hydro_AS-2D 모형과 BIM을 이용한 부산시 수영만 침수대피 계획 수립
- 주요 사회재난 피해확산 분석을 위한 인벤토리 구축
- 대형복합재난 모의를 위한 시나리오 자동생성
-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균열시편의 온도특성 분석
- Web 기반 고해상 데이터 압축포맷 변환을 통한 Risk Map 정보의 효과적 확산 기법
- 가상 태풍 시나리오에 따른 한반도 폭풍해일 범람 모의
- 화재피해 예방 및 예측을 위한 화재현황분석
- BS 8414 외장재 실대형 시험방법 국내 도입을 위한 평가기준 시험적 연구
- 기상조건에 따른 풍력/태양광 자가 발전량 분석 연구
- 침입범죄 발생 저감을 위한 스마트 방범문 개발 연구
- 연평균 지하수위를 고려한 영남지역 송전전력구 매설지역에 대한 액상화 위험도 평가
- UAV 측면 근접영상의 정량적 분석 방안
- Seasonal variations in the pollutant removal performance of an urban stormwater infiltration trench
- 한국에서 재난으로 인한 고령자 삶의 변화와 구호지원 정책
- 농업부문의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평가에 관한 연구 동향
- 화학사고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 지역특성을 반영한 복합재난 예측방법론에 관한 연구
- 빈도해석을 이용한 재현기간에 따른 한파 및 폭염 위험지도 개발
- 동조질량감쇠기술을 이용한 철도선하역사의 진동감소
- 우리나라 농장별, 지역별 HPAI 발생가능성 예측시뮬레이션 연구
- Multicriteria flood risk assessment in Metro Manila, Philippines
- 시나리오 기반으로 한 대형복합재난 확산예측 시스템
- 동해안 너울성 파랑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위험기준 적용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Inelastic Buckling Strength of Stepped I-Beams Located at Midspan Subjected to Pure Bending
- 기후변화 취약성과 기후변화적응 국제표준 동향
- 안전기준 속성정보 구조화를 통한 분석 방안 설계
- 3D GIS와 Dynamic Impact Flow를 활용한 재해 Risk정보 표출 시스템 개발
- 긴급복구 시나리오의 적용 사례 연구
- 포트홀 저감을 위한 분말형 박리방지제의 수분민감성 평가
- 한반도에 내습한 태풍을 이용한 해역별 설계태풍에 관한 연구
- 태풍 ‘차바’로 인한 피해가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을 이용한 하천의 정사항공사진 제작 및 하구부 지형변화 관측
- 연안도시 홍수방어를 위한 구조적 대책 수립
- Embedded Trench Installation 기법을 적용한 지중아치구조물의 Span-Rise비에 따른 토압 경감 효과 연구
- 온실의 취약도 함수를 고려한 설해 피해율지도 작성
- 실대차를 이용한 탈선 후 거동 실험
- 재해통계 기반 호우피해 예측함수 개발
- 지역별 위험 등급에 따른 호우피해 예측함수 개발
- 드론을 활용한 산지재해 위험지역 분석에 관한 기초 연구
- 온도상승에 따른 콘크리트의 열전도율 예측 모델
- 신형식 소파블록 거동 모니터링
- 건물군 인벤토리 정보와 다차원법을 활용한 홍수피해액 산정
- Analytical Evaluation of the Behavioral and Joint Radial Flood Vulnerability Index in Albay, Philippines
- 재난정보 표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기술
- 마모해석을 이용한 철도분기기의 주행안전성 분석
- 노출된 노후전선의 Tracking 화재영향성 분석
- 풍수해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 계산방법
- 왜 대한민국에서 재난안전의 붐은 오지 않는가?
- 기후변화와 재난위험도관리
- 한반도 강풍 분포 추정에 기반한 도시 극한 기상 분석
- 금융기관의 BCP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마이크로 지오데이터 기반의 대형복합재난 통합모델링 피해 추정 기법 연구
- IoT 디바이스와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유해 야생동물 퇴치에 관한 연구
- 화학물질 확산모델링 결과기반 피해영향 산정 연구
- 레질리언스 공학 기법을 이용한 특수재난관리 역량평가
- 스마트폰을 이용한 복구 현장관리
- 풍수해 보험관리지도 위험도 모델링 자동화 고도화
- 풍수해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외수침수 위험도 분석 및 평균피해율 산정
- 액상화 평가에 따른 R&D 추진방향 제안
- LabVIEW 플랫폼을 이용한 전기사고 감시용 모니터링 프로그램 설계에 관한 연구
- 광학위성자료를 이용한 굴절률 및 RGB 컬러합성기법 기반의 홍수탐지 연구
- 우리나라의 대설 피해 경향성 분석
- 재해원인(수해ㆍ풍해ㆍ설해)별 위험도가 반영된 보험요율 차등화 방안
- 유량과 수질의 유사성을 고려한 우수관망 모니터링 지점 최적화 연구
- 최근 10년간 원전주변 죽변 AWS의 풍향ㆍ풍속 분석
- 점토 표면의 현장상태 평가를 위한 휴대용 계측장비 개발
- 하천공간의 입체적 방재활용 가능한 BIM 객체분류체계 개발방안
- 퍼지함수와 PDA 모형을 이용한 비상시 용수공급 성능지표 개발
- 세립분 함유율에 따른 모래-점토 혼합토의 정적 전단강도 특성
- 스프링 서지 완화 밸브의 다목적 최적화를 위한 방법론
- 하천모니터링을 통한 하천변화추이 분석
- 관리수위 변화에 따른 새만금 지구 수질변화 검토
- 화산재 확산 실시간 평가를 위한 LADAS-VA 도커 이미지 개발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교량 상 콘크리트궤도의 종방향 저항력 산정
- 공간분석 기반의 심정지 중점관리지역 선정에 관한 연구
- RCP 시나리오별 미래 남북한 수자원 전망 평가
- 농업생산기반시설 내진설계기준 개정 연구
- Influence of silica fume on the impact resistance of cement pastes obtained by the Charpy impact experiment
- 대규모 복합재해 대비 새로운 공공ㆍ사유시설 복구기법 도출 및 적용방안
- 영하온도(-5℃)에서의 나노 시멘트 복합체의 발열성능 연구
- 연쇄붕괴에 저항하는 현수작용에 대한 수치 해석적 모델링 연구
- 인공위성을 이용한 한반도 미세먼지 농도의 공간적 분포 추정 연구
-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유역관리기법
- 철도역사의 비상대피안전을 위한 재실자 밀도 및 보행패턴 측정 기법개발 연구
- 화재현장 인명구조를 위한 전파법에 대한 연구
- 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한 팔당호 유역의 수질 특성 평가
- 시멘트 복합체 배터리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하수관망 모형실험 기술 개발
- 미계측 산지유역에 도입된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의 불확실성 평가
-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횡방향철근과 휨성능 곡선
- GIS를 이용한 산악지역 자동우량경보시설 기준설정
- 지자체 저수지 특성을 고려한 저수지 위험도 평가 알고리즘 개발
- 차세대 고속철 PSC box 교량의 동적확대계수 분석
- 터널 사고사례 분석을 통한 설계안전성검토 적용
- 보-기둥 콘크리트 접합부 형태별 폭발 저항성능 분석
- 시범단지의 LID 물순환 효과 모의 분석
- 가뭄저유량의 기후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KNN 비매개변수 시뮬레이션
- 이변량 다층 퍼셉트론 분류기에 의한 침수예측 모델
- 지형학적 인자를 이용한 광역 홍수범람 위험지역 분석
- 철근콘크리트 보의 콘크리트 강도 변화에 따른 NSM CFRP 공법의 휨 성능 분석
- CO₂ methanation 반응을 위한 Ni계 촉매에 관한 연구
- 접합부를 가진 수평부재의 고온에서의 파괴모드 연구
- K-평균 알고리즘을 이용한 적설관측소 군집분석
- 자연재난 피해조사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시설물 유지관리에서의 인프라 BIM 통합플랫폼 응용효과 분석
- 상수관망 수압기반해석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구역고립지역 처리기법
- 감시 영상에서 Level set 방법을 이용한 하천 범람 영역 추정
- 딥러닝 오픈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하천수위 예측
- 우수 재활용을 위한 바이오매스 흡착제 특성 및 흡착능
- 수압기반해석과 엔트로피 기법을 활용한 상수관망 수압계측 지점 선정
- 소하천 영향을 고려한 XP-SWMM 유역 유출 해석
- 우수관망 구조에 따른 유출 속도 분석
- 메콩강 유역의 강우-유출-홍수범람해석 적용성 평가
- 극한강우조건하에서의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재해도 곡선 작성
- Natech에 의한 특정화학물질 누출 시나리오 예측과 효과적인 관리방안 연구
- 방재성을 고려한 지방하천 설계빈도 결정방안
- PA섬유를 활용한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재료특성 고찰
- 세립분 함유율에 따른 실트질 모래와 점토질 모래의 역학적 특성
- 수정 가능한 시ㆍ공간 단위 문제를 고려한 호우 재해 취약성 분석
- 호우전이를 이용한 극한호우사상의 재현기간 간편 추정
- 서울지점 연최대치 호우사상의 시간분포 특성 검토
- 반복적인 작은 규모의 지진에 대한 앵커의 저항특성
- LCD유리 미세분말을 혼입한 모르타르의 배합 및 강도 특성
- 치수 투자우선순위 결정에 대한 고찰
- 과부하 4방향 원형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 분석
- 지역자율방재단 활동에 따른 울산 남구 지역 주민들의 의식변화 연구
- River Water Level Prediction Using a Deep Neural Network
- 폭발위치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부 형태별 구조거동 분석
- 국가 긴급수송로 지정 및 활용방안 연구
-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수직갱 하단 압력 분포 검토
-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풍수해 보험관리지도 통합관리시스템 디자인 개선에 대한 연구
- 인간 특성에 기초한 실시간 능동 경로 선택모델과 전산유체역학 데이터를 적용한 군중 대피 시뮬레이션
- 목표값에 집중한 강우추정 관계식의 매개변수 추정
-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재해관리 자원봉사단 활용 방안
- 타워크레인 사고 요인 선정에 관한 연구
- 콘크리트 박막벽체의 극한 편심축강도
- 11.15 포항 지진 대응과정 및 개선방안
- 17년 국토부 안전한국훈련 추진 사례
- 시간의존적 거동을 고려한 PSC 철도교량 장기거동 예측에 관한 연구
- 하천제방 붕괴 특성 및 유지관리 고도화를 위한 안전도맵 구축 방안
- Laboratory scale column experiment to study infiltration of hydrologic soil type after gravel amendment
- 급경사지 재해 예경보 시스템 구축
- 복합원인에 의한 연안지역(울진군)의 침수범람 모의
- 항공사진을 활용한 천층붕괴지의 지형특성 해석에 관한 연구
- 위험수준을 반영한 도로함몰 복구대응매뉴얼 개발
- 기후변화를 고려한 주요 국가 시설물에 대한 극한강우 분석
- 지진 발생 시 산업단지 내 화학물질 누출에 따른 혼합 반응 위험성 예측에 관한 연구
- 극한강우 시 금전저수지 사이펀 여수로 운영
- 광역 토석류 모델을 활용한 산지재해 위험등급 산정
- 연안도시 기후변화 정보 포털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재해 경험과 대피 훈련이 대피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RCP 4.5, 8.5 시나리오를 이용한 대한민국 유역의 강수일수-강수량 변화 경향 분석
- 지표조도 및 지형할증을 고려한 재현기대별 바람(강풍)위험지도 작성 방법
- 풍력-조류 복합발전 하이브리드 지지구조 설계
- 재난유형별 자원동원현황과 지자체 보유자원 현황 비교분석
- 국내 지진 발생에 대한 주민대처 능력분석 및 지진대응 개선에 관한 연구
- 격자기반 지표모형에서의 유출예측 개선
- FESWMS 모형을 이용한 가곡천 하구부 수리특성 분석
- 연안도시 방재성능목표 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
- Delft-3D를 이용한 가상 지진해일로 인한 범람모의
- Use of air vent in siphon spillways to control outflow discharge from reservoir
- Analysis and Assessment for Flood Damage in Residential Buildings of Gunsan City, Korea
- 지자체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사례
- 바람직한 미래의 안전한국훈련 방향
- 인공강우강도에 따른 식생체류지를 통한 빗물유출 저감효율 분석
- 2017년 10대 재난
- 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을 활용한 평창동계올림픽 상황관리
- 강원대학교 방재안전분야 전문인력 양성사업 소개
- 서울형 민방위 대피시설 지정관리 개선방안
- 고강도 강연선을 이용한 멀티압착식 압축형 영구앵커의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 아두이노 마이컴을 이용한 전기분전반 결상사고 제어회로 토폴로지에 관한 연구
- 필터형 투수블럭을 이용한 오염물질 저감 및 시설효율 분석
- 지역 내 다중수원 이용을 위한 스마트워터그리드 물순환 시스템의 활용
- 드론을 이용한 인명탐지 방법에 관한 연구
- 교통재난안전 플랫폼 구축을 위한 기본전략 수립
- 연안도시의 복합적인 특성에 따른 홍수 발생유형 분석
- 외부 환경 인자에 따른 미세조류-질산화 반응조 평가
- 조류 공배양 반응조에서 질소 및 인 동시제거 평가
- 안전취약계층을 고려한 지진해일 긴급대피소 입지 적정성 평가
- UWB 레이더를 적용한 화재현장 인명구조를 위한 연구
- 대규모복합재해 복구계획과 지역발전계획과의 연계체계 연구
- 비상시 수계전환 수리해석을 위한 A-PDA모형의 적용
- 서울시의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 거대홍수에 따른 최적 대피소 선정
- 장기요양시설의 재난대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일반보험 지진사고 특성분석
- 호우에 따른 일반자산 피해액 평가 모델 개발
- 도시의 GA-SWMM에 의한 파레토 최적 저류지 계획에 관한 연구
- 초고성능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초저온 성능 평가
- 추계학적 점 강우 모형의 목적함수에 따른 일강우량의 시간적 분해능력 평가
- 일본의 지역단위 지진방재종합대책 특징과 시사점 연구
- 하이드로지오폰을 이용한 소류사 계측에관한 실험적 연구
- 화산재해 DB의 현황분석
- 나노섬유로 보강된 폴리머의 인장특성에 관한 연구
- 부유식 구조체 적용 경량콘크리트 보부재의 전단거동 실험
- 보행자용 네트워크를 활용한 연안도시 침수 대피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 농촌의 특성을 반영한 재난관리 방향에 관한 연구
- GIS 기반의 대형복합재난 피해확산 통합모델링 시스템 개발
- 면담조사를 통한 재난피해자 구호서비스 Needs분석
- 미래 기후변화를 고려한 지역별 방재성능목표 강우량 개선 연구
- 한국 해외긴급구호대원의 파견 활동의 어려움
- 시뮬레이션 히스토리 기반 대형복합재난 확산예측 가속방법
- Investigation on the contribu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to water quality degradation of Jeonju River, South Korea
- 저수지 축조재료에 따른 내부침식 영향 분석
- 산불연료 습도 센서의 개발 및 적용
- CuBLOC 마이컴을 이용한 전기화재 예측 IoT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지형적 특성에 따른 호우피해 특징 분석
- 팔당호의 시공간적 물순환 수리 특성 조사
- 발표장 배치도
- Interdependence of variables influencing pollutant removal performance of an infiltration garden treating parking lot runoff
- 2016년 경주지진파의 특성
- 주택에 대한 지역별 수해 위험도 분석
- How wet is wet? Using meteorological information to drive disaster logistics preparedness
- 레질리언스 공학 기법을 이용한 특수재난관리 역량평가 모델 연구
- 예민한 난형 관거 개발과 수리특성 분석
- 교량 재난관리시스템(B-DMS)의 자연재난 위기경보수준 자동판단 알고리즘
- 태풍 피해 예방을 위한 위성활용 태풍 강도 분석 기술 개선
- 수문계열의 비선형적 특성을 이용한 IETD(최소 무강우 기간) 산정방법
- 해양 분야 응용을 위한 GNSS 반사측정
- IGS 실시간 서비스 RTS의 현황 소개
- 국지성 풍해방재를 위한 대기안정도에 따른 연안지역 연직 풍속변동 특성분석
- 기후변화에 따른 새만금유역 수질양상 변화 전망
- 도심지 폭발에 대한 시설물 리스크 평가를 위한 SW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
- 원전 전기기기 내부 증폭응답 연구
- Nays2DH를 이용한 낙동강 홍수터 식생의 수리적 영향 모의
- 도심지 불투수면적을 고려한 병성천 유역의 수문 및 수질특성분석
- 지속가능한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입법정책 방안
- 팽창제를 첨가한 초미립자시멘트의 그라우팅재료 특성 및 저수지 차수보강 효과
- HSPF 기반 저영향개발 해석 모형의 개발 및 적용
- 개수로 흐름에서 오염물질 거동해석을 위한 2차원 SPH모형
- 환경요인을 고려한 구조물 감시용 CCTV 배치 최적화
- 지진 발생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기능연속성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 안전복지를 위한 지역사회 레질리언스 강화 방안
- 타워크레인 재해사례를 통한 중대재해 예방대책
- 멀티드론을 이용한 대규모 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비행계획 프로그램 개발
- FPA(Fire Propagation Apparatus)를 이용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화염전파특성에 관한 연구
- 슬래그 골재의 아스팔트 혼합물 활용을 위한 밀도 보정 배합설계 방법 연구
- 재난과 언론의 관계 및 재난심리
- 투과형 토석류 대책시설 O-NET(토석류 포획망)의 지지부(DEX-ANCHOR)에 관한 연구
- 초기 및 경계조건의 기온이 태풍 강우 최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평균 피해율을 반영한 풍해 위험도 평가 및 지도 작성
- FARSite를 이용한 산불 모의 실험
- 라텍스계 연성유지 아스팔트를 이용한 표면 균열보수 공법 및 보수장치 개발
- 이용자 안전을 고려한 지진대피소 선정기준 개선 연구
- 수위감지 알고리즘 정확도 검증 및 검증시스템 개발
- 공동구 시공 중 대형재해 발생 시 안전 확보를 위한 기준
- 조립식 버팀보의 구조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
-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재난관리자원의 공간분석
- 청주지역 집중호우 복구 사례를 통한 민ㆍ관 협력 개선방안 연구
- 헌혈증진을 통한 혈액공급 위기 해소 방안 연구
- 침투트렌치 LID 시설의 설계 인자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 시설물 점검을 위한 드론 영상 기반 스마트폰 영상 자동 처리와 정확도 분석
-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유동성채움재 배합비 도출
- 마사란두바 목재의 표면 연소특성 산출
- 토석류 발생가능성 및 시설안전성을 고려한 토석류 위험지도작성에 관한 연구
- 재해예방형 도시계획 지원을 위한 실무적 기술지원
- 방화구획설비 및 내화구조의 현장품질관리 절차 검토에 관한 연구
- Affection of latex polymer to the energy absorption capacity of concrete matrix estimated by the Charpy impact test
- 지진동 관리시스템 개발 개념설계
- 가뭄에 따른 환경생태유량 영향 분석
- 과부하 T형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저감
- 내수침수 해석기법의 고도화
- 스마트 도시 안전 요소기술 동향 분석
- 토석류 충격력을 고려한 사방댐 안정성 평가
- 내수침수 저감을 위한 간선저류지의 관련 특성인자 분석
- 연속강우 기반의 광역도시 산사태 예ㆍ경보 모델 개발
-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의견조사 및 분석 연구
- 성능위주 연기제어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
- 바크하우젠 잡음을 이용한 비파괴 레일 축력 측정 모듈 설계
- 풍수해 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내수침수 분석 및 침수지도 작성
- 연속호우사상 기반의 단기 홍수유출 모의를 위한 유출모형 개발
- CSEOF 분석을 이용한 동아시아 사막화 영향 평가
-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해일위험지구)지정 활성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안) 연구
- 머신러닝 기반의 호우피해 예측함수 개발
- 철도차량 일탈사고 심각도 영향 요인 연구
- 크라우드소싱을 이용한 침수흔적기록 및 위험관리
- 흡수정 내 와류분포 분석을 위한 실험 및 수치모의
- 원전기기 내진검증을 위한 해석모델 구성 및 검증
- RCP 4.5 및 8.5 시나리오에 따른 새만금 유역 장기하상변동 분석
- 시간 고해상도 기반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 IDF곡선의 분석방법
- 우수관로 내부 유동장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 프로그램
- 국민참여ㆍ체감형 훈련 발전방안
- LSTM 알고리즘을 이용한 메콩강유역의 하천유량 예측
- 취약도 분석을 통한 전차선로시스템의 지진안전성 검토
- 재난대응훈련 및 매뉴얼의 실용화를 위한 지진 상황 시나리오 개발 방안 연구
- 시나리오 기반 Risk 정보 제공을 위한 통합 인벤토리 구축 기술 개발
- 포항지진 이후 재난정신건강서비스 무엇을 준비해야하나?
추천 논문
-
제갈현숙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0(31) 2007.12
-
이철용(Chul-Yong Lee) 한국독일사학회 독일연구 Vol.15 20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