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화재를 위한 화재시나리오 분석
The Analysis On The Fire Scenario In Design Fire
- 한국방재학회
-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8년
-
2018.02208 - 208 (1 pages)
- 171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성능위주 화재안전 설계를 위한 화재 시나리오에 대해 분석하였다. 건축물에서의 화재안전 대책은 법규 위주의 설계와 대안적인 성능 위주의 설계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의 화재안전 제도는 건축법과 소방법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소방법에서는 성능 위주의 설계를 위한 화재 시나리오 및 성능 기준을 일부 제시하고 있다. 성능위주 화재안전 설계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대상 건축물의 용도, 규모 및 화재 특성 등이 분석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과정을 설계 화재라고 표현할 수 있다. 건축물의 용도 및 규모는 설계 시에 결정되는 요소이고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화재특성은 국내ㆍ외에서 t² 성장곡선을 사용하고 있다. t² 성장곡선에서는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저속, 중속, 고속, 초고속으로 구분하여 열방출률이 1 MW에 도달되는 시간을 상수로 제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아직 건축물 용도별로 성장률을 제시하고 있지 않아 국외에서 사용하고 있는 성장률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외에서는 나라별로 일부 용도의 성장률을 상이하게 제시하고 있어 이를 적용하는 설계자에 따라 동일한 용도에도 다른 성장률을 적용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설계 화재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화재 시나리오의 결정에 있다. 화재 시나리오는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될 상황들을 예측하여 이에 따른 화재방호 대책을 점검하고 성능기준을 충족시키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확률론적 방법과 결정론적 방법을 구분할 수 있다. 확률론적 방법은 다양한 데이터의 확보가 부족하여 보편적으로 결정론적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ISO 기준 및 국내의 소방법에서도 결정론적 화재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으며, 화재 시나리오는 인명안전, 건축물 보호와 인접 건축물로의 화재확산 방지 등과 같은 화재방호 목표를 설정하면서 그에 맞는 대상 시나리오를 결정하게 된다. 국내 소방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화재 시나리오는 전체적인 화재방호 목표에 따른 적용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건축과 소방이 포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재 시나리오 개발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