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권 한국어학습자와 중국어권 한국어학습자의 이중모음 /ㅢ/의 특성 비교
- 한국언어치료학회
-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2년 제18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2.10289 - 294 (6 pages)
- 57
본 연구는 영어권 한국어학습자의 중국어권 한국어학습자의 이중모음 /ㅢ/의 특성을 비교하고자 영어권 한국어학습자 13명, 중국어권 한국어학습자 13명 총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에게 이중모음 /ㅢ/가 어두에 제시되는 ‘의사’와 이중모음 /ㅢ/가 어말에 제시되는 ‘강의’를 산출하도록 하여 Praat으로 녹음한 뒤 이중모음 /ㅢ/의 활음의 길이와 제1음형대, 제2음형대를 Praa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두 집단의 이중모음 /ㅢ/의 활음의 길이는 ‘의사’, ‘강의’ 둘 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제1음형대의 주파수는 ‘의사’에서는 두 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강의’에서는 두 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제2음형대의 주파수는 ‘의사’, ‘강의’ 두 단어 모두에서 두 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영어권 한국어학습자와 중국어권 한국어학습자의 이중모음은 활음의 길이, 제2음형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어두에 이중모음이 위치하는 ‘의사’에서는 두 집단간의 제1음형대의 주파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어말에 이중모음이 위치하는 ‘강의’에서는 두 집단간의 제1음형대 주파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활음/ㅢ/의 음향음성학적 분석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의 모국어의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접근을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