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대회자료

경도인지장애(MCI), 경도알츠하이머 치매(DAT) 환자의 자발화 분석 척도 유용성

Usefulness of Spontaneous Language Analysis Scale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Mil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 28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apairment; MCI, 이하 MCI),경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mild dementia of Amzheimer’s type: DAT, 이하 DAT)의 자발화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분석 척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일반 고령자 30명, MIC 환자 30명, 경도 DAT 환자 30명이었으며, 자발화 수집 과제로 Boston Cookie-Theft picture(Goodglass & Kaplan, 1983)를 사용하였다. 자발화 분석 척도는 CIU 낱말 및 어절 비율, 주요개념, 발화당 내용어수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상 고령자와 경도 DAT 집단은 모든 분석 척도에서 차이를 보였고, 정상 고령자와 MCI 집단 간에는 발화당 내용어수, MCI 집단과 경도 DAT 집단 간에는 CIU 어절 비율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ROC 곡선을 통하여 민감도와 특이도를 평가한 결과 정상 고령자와 경도 DAT 환자를 변별 시에는 네 가지 척도 모두 유용하였으며, 정상 고령자와 MCI 환자 변별은 발화당 내용어수, MCI 환자와 경도 DAT 환자 변별은 CIU 어절 비율 분석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MCI, 경도 DAT 집단의 경우 서로 다른 자발화 분석 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함을 시사한다.

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