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이미지 없음
학술대회자료
준언어적 구성 요소를 통해 알아본 목소리 호감도
A Study of Voice Analysis and Good Impression Using Paralinguistic Construction Elements
- 한국언어치료학회
-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5년 제4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15.10
- 272 - 273 (2 pages)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는 화자의 말소리 인상평가를 통해 준언어적인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목소리 호감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도(사투리) 말을 15년 이상 사용하는 남ㆍ여 대학생 각각 2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청취자는 20대 대학생 남ㆍ여 각각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목소리의 호감도 평가를 위한 문항에서 남자의 매력적인 목소리를 평가할 수 있는 문항 4가지인 명료성, 신뢰성, 자상함, 안정감에 대한 요소로 측정하였고, 여자인 경우에는 부드러움, 상냥함, 쾌활함, 친절함에 대한 4가지 요소를 통해 호감도를 측정하였다. 남자 화자의 경우 객관적인 4가지 요소 중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특징으로는 억양의 변화로 나타났다. 여자 화자의 경우 말의 속도는 빠른 속도와 중간 속도의 빠르기를 나타내었으며, 중간 정도의 억양의 변화와 많은 음역의 변화를 가지며, 강도는 중간 강도와 높은 강도를 나타내는 특징들이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남ㆍ여 화자의 목소리 분석에서 나타나는 특징들 중 남자에서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억양의 변화를 가지는 목소리로 나타났고, 여자에서는 음도, 말의 속도, 억양의 변화가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해서 조화롭게 이루어질 때 호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