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대회자료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가 발달장애 성인의 의사소통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of Adul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161
커버이미지 없음

Purpose: 발달장애인들은 인지능력 결함과 더불어 의사소통능력의 부족으로 심리사회적, 교육적, 정서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지속되는 실패 경험은 발달장애인들의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사회적 고립, 거부, 위축, 낮은 자존감, 공격행동 등과 같은 점차 더 심한 문제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달장애인들이 대인관계 상황에서 더 이상 소외되거나 고립되지 않고 사회 구성원으로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필수적인 사회적 의사소통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야 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DSM-5에서 제시하는 사회적(실용적) 의사소통장애의 진단기준을 근거로 하여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Methods: 본 연구는 K시에 위치한 D대학교 평생교육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성인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독립변인인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가 종속변인인 발달장애 성인의 의사소통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전ㆍ사후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중재는 총 15회기로 구성되어 2017년 3월 7일부터 6월 21일까지 주 1회씩 90분간 진행하였다. Results: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에 참여한 발달장애 성인 집단은 의사소통에 대한 자신감 및 자율성, 역할 및 자아, 일상생활 참여, 타인과의 상호작용 모두에서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Conclusions: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가 발달장애 성인의 의사소통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중재 과정 속에서 대상자들은 서로 간에 협동, 공감, 배려 등 다양한 정서적 교류를 경험해보고, 사회생활에 원만하게 적응하는 방법과 사회적 의사소통능력을 배웠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 성인이 의사소통을 하는 데 있어 위축되거나 수동적인 상태로 머무르는 것이 아닌 능동적인 의사소통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돕고, 긍정적인 감정과 자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사회적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관련한 여러 형태의 프로그램 개발과 접근이 중요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