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큰 유두함몰비를 갖는 녹내장모양시신경유두와 원발개방각녹내장안 시신경유두함몰 깊이 비교

Comparison of Mean Optic Disc Cup Surface Depth between Primary Open-angle Glaucoma and Glaucoma-like Disc

  • 9
141344.jpg

목적: 녹내장에서 시신경유두 표면의 함몰이 관찰된다는 것은 선행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다. 큰 유두함몰비를 가진 녹내장모양시신경 유두와 원발개방각녹내장안의 시신경유두 사이에서 평균 시신경유두함몰 깊이를 정량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 녹내장 외래에 내원한 환자 중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인 CirrusTM HD-OCT (Carl Zeiss Meditec, Inc., Dublin, CA, USA)를 사용하여 평균 유두함몰비, 유두영역, 시신경유두함몰부피를 측정한 환자들 중, 평균 유두함몰비가 0.7 이상 0.8 이하의 녹내장모양시신경유두 환자 40명 40안과 동일 조건의 유두함몰비를 보이는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 40명 4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각 군의 평균 시신경유두함몰 깊이를 계산하였다: (시신경유두함몰부피/[유두영역×평균유두함몰비2])–200 μm. 결과: 녹내장모양시신경유두 집단의 평균 나이는 61.18 ± 11.83세, 원발개방각녹내장 집단의 평균 나이는 59.65 ± 11.69세였으며, 평균 유두함몰비는 녹내장모양시신경유두 집단 0.74 ± 0.03, 원발개방각녹내장 집단 0.75 ± 0.03으로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p=0.333, t-test). 그러나 평균 시신경유두함몰 깊이는 각각 144.74 ± 82.78 μm와 199.53 ± 90.26 μm로 원발개방각녹내장군에서 유의하게 컸다(p=0.006, t-test). 결론: 녹내장모양시신경유두는 비슷한 유두함몰비를 가지는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의 시신경유두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하게 얕은 평균 시신경유두함몰 깊이를 보였다.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 결과지를 바탕으로 평균 시신경유두함몰 깊이를 확인하는 것은 녹내장모양시신경유두를 녹내장성 시신경유두로부터 감별하는 데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Optic nerve head surface depression in patients with glaucoma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We quantitatively compared the mean optic disc cup surface depth between glaucoma-like disc (GLD) patients with large cup-to-disc ratios and primary open-angle glaucoma (POAG) patients. Methods: A total of 40 eyes of 40 patients with GLD and 40 eyes of 40 patients with POA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had an average cup-to-disc ratio of 0.7–0.8. The optic disc area, mean cup-to-disc ratio, and mean optic disc cup volume were measured using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irrus™ HD-OCT; Carl Zeiss Meditec, Inc., Dublin, CA, USA). The mean optic disc cup surface depth was calculated using the formula: (mean optic disc cup volume/[optic disc area × mean cup-to-disc ratio2]) – 200 μm. Results: The mean ages of patients were 61.18 ± 11.83 and 59.65 ± 11.69 years for the GLD and POAG groups, respectively. The average cup-to-disc ratios were 0.74 ± 0.03 and 0.75 ± 0.03 for the GLD and POAG groups, respectivel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mean optic disc cup surface depths were 144.74 ± 82.78 μm and 199.53 ± 90.26 μm for the GLD and POAG groups,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6, t-test). Conclusions: POAG patients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mean optic disc cup surface depth compared to GLD patients with a similar mean cup-to-disc ratio. Based on the results of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onfirming the mean optic disc cup surface depth is expected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to distinguish GLD from POAG patients.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