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역커뮤니티와 책문화생태계 연구

A Study on the local Community and Book Culture Community

  • 263
141456.jpg

최근에 지방분권이 중요한 키워드가 되며, 지방정부라는 더욱 명확한 용어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으로 지역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지역의 발전이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며, 지역의 발전은 지역활성화와 긴밀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지역출판의 활성화를 위해서 지역커뮤니티의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고 지역커뮤니티와 지역책문화생태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지역커뮤니티와 지역책문화생태계의 이론적 연구를 통해 본 시사점은 첫째, 지역의 책문화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지역커뮤니티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둘째, 지역커뮤니티의 책문화생태계 활성화는 지역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다. 셋째, 지역커뮤니티의 형성은 지역민들의 연대 강화와 지역정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넷째, 지역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지역출판의 지산지소(地産地消)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지역출판 시장의 확대는 지역의 기반인 커뮤니티에서부터라고 할 수 있으므로 향후 커뮤니티에 관한 연구가 출판학에서도 필요하다.

Decentraliz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keyword in recent years, referred as “local government”. The importance of the region is more emphasized by such phenomenon. Regional development is a driving force of national development, and has a close relation with the regional revitalization.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the local community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book culture ecosystem. Implications of this theoretical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o vitalize the local book publishing ecosystem, the local community should be embraced. Secondly, the revitalization of the book culture ecosystem in the local community could build up a local brand. Thirdly, the formation of a local communit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solidarity and regional policies. Lastly, a self-sustaining local publishing can be possible. The expansion of local publishing markets is based on local community. Therefore, following studies of the local community in the field of publishing science are needed.

국문초록

1. 문제 인식

2. 지역커뮤니티와 책문화 생태계의 이론적 고찰

3. 책문화생태계의 개념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