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역서점의 현황과 변화를 고찰할 뒤 지역서점의 육성과 발전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역서점의 동향과 변화, 지역서점의 현황 및 분석, 독립서점 전문서점 복합서점의 현황,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한 조례 제정, 지역서점 육성을 위한 서점 분류 기준에 대한 논의, 지역서점인증제에 대한 논의 등을 주요 연구 내용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서점의 육성과 발전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정부와 지자체와 서점업계의 지속적인 제도 개선 노력이 필요하고 둘째, 출판계와의 공조 통해 출판유통구조의 획기적 개선이 필요하고 셋째, 지역서점인증제의 고도화로 ‘우수지역서점인증제’가 필요하고 넷째, ‘지역서점’에서 ‘지역네트워크서점’으로의 격상이 이루어져야하며 다섯째, ‘책을 중심으로 한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위상이 강화되어야 하며 여섯째, 큐레이션 기능이 강화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독서활성화를 이끄는 역할을 주도적으로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local bookstores and to suggest suggestions for the fostering and development of local bookstor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dered the trends and changes of local bookstores, the status and analysis of local bookstores, the status of the independent bookstoreㆍspecialty bookstoreㆍcompound bookstores, the establishment of regula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bookstores, discussions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bookstores for fostering local bookstores, and discussion on local bookstore certification system. As a result of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fostering and development of local bookstores. 1) Continuous system improvement efforts of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bookstore industry. 2) Significant improvement of publishing distribution structure through cooperation with publishing. 3) Local bookstore certification system needs to be upgraded to ‘Excellent local bookstore certification system’. 4) Upgrading from ‘local bookstore’ to ‘local network bookstore’. 5) Strengthening its position as a ‘multi-cultural space centered on books’. 6) Enhancement for curation function. 7) Leading role to lead the reading.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3. 지역서점의 동향과 변화
4. 전국서점의 현황ㆍ추세 및 분석
5. 독립서점, 전문서점, 복합서점의 현황
6.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한 조례 제정
7. 지역서점 육성을 위한 서점 분류 기준에 대한 논의
8. 지역서점인증제에 대한 논의
9.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