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2559.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olescent-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Ego-Resilience on School Adjustment: A Comparison by Gender and School Affiliation

DOI : 10.20496/cpew.2018.5.1.91
  • 528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별과 학교계열에 따라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은 D지역 내에 소재한 일반고 및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586명이며, 자료 분석은 SPSS 19.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및 학교계열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변인 간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일반고등학생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교적응 정도가 높은 반면, 특성화고등학생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학교적응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및 학교계열을 고려하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일반고 남학생을 제외하고 모두 자아탄력성이 보다 더 큰 영향력을 지니는 것이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상황적 차이를 이해하고 유연하게 학교 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ego-resilience on school adjustment of different gender and school affili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to 586 students at academic track and vocational track of high schools located in ‘D’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wo-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9.0. The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among gender and school affiliation on school adjustment. Second, analyzed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and ego-resilience on school adjustment, a lot of ego-resilience(except male student in academic track), just a few parenting attitudes(on female student in academic track), had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offer the understanding about difference between academic and vocational track of high school student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programs about improving adolescents ego-resilienc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