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현장에서의 실천을 통해 이루어지는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을 경험학습이론에 비추어 탐색하였다. 특히 현직에 있는 평생교육사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이론과 실제의 ‘간극’에 대한 해석과 이에 대해 이루어지는 실천 양상을 경험학습의 일환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해석학적 현상학의 방법론에 입각하여 주제 분석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고, 지방자치단체 소속 평생교육 기관에서 근무하는 평생교육사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평생교육사들이 실천을 전개해가는 양상은 기존 경험학습 모형의 단순한 적용이 아닌 경험학습의 변용(變容)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사들은 1) 평생교육의 이론적 지향, 2) 평생교육사의 역할, 3) 학습자에 대한 이론적 접근의 세 영역에서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인식했고, 간극을 중재 하는 이들의 실천은 영역별로 서로 다른 양상의 경험학습으로 이어졌다. 평생교육사들이 각 영역별로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어떻게 해석하는가는 경험학습이 전개되는 방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에 입각하여 본고에서는 콜브와 자비스의 경험학습 모형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한 이론과 실제의 총체성과 이론과 실제 양자를 중재하는 경험학습 주체로서 평생교육사를 부각하기 위해 “중재적 포착(interprehension)”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professionalization of lifelong educators through the lens of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 particular focus was put on how lifelong educators interpreted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lifelong education, and how they engaged in practice based on their interpretations. Thematic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was used in the research, and eight lifelong educators working at municipal leve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practices of lifelong educators were not a mere application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model, but an active transformation of the previously representative models of Kolb and Jarvis. Lifelong educators recognized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the three areas of 1) theoretical orientations of lifelong education, 2) roles of lifelong educators, and 3) theoretical approaches regarding learners. Their practices to mediate the gaps in each area led to differing forms of experiential learning, respectively. How lifelong educators interpreted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was a major factor that influenced how their experiential learning unfolded. Based on such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a new concept of “interprehension” to express the totality of theory and practice in experiential learning and lifelong educators’ role to mediate the gap in between, which had not been sufficiently addressed in the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models of Kolb and Jarvis.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요약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