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 문화콘텐츠 시장에서의 활용을 위한 튀르크 설화 발굴

Discovering Turkic Folktales for Korean Cultural Contents Market

  • 130
142738.jpg

본 연구 ‘한국 문화콘텐츠 시장에서의 활용을 위한 튀르크 설화 발굴’은 무한한 문화자원의 원천으로 존재하는 튀르크 설화의 교육·문화·경제적 가치의 재발견과 설화가 향후 새로운 창작의 자원으로 활용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튀르크 설화 특히, 그동안 한국 문화시장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아나톨리아 반도 튀르크 설화의 이야기들을 탐색 및 분석하여 한국에서 소비되고 더 나아가 세계 문화콘텐츠 영역에서 경쟁력 있는 문화자원으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튀르크족이 축적한 설화를 현대적이고 대중적인 이야기로 재탄생하여 문화 콘텐츠로 이용할 수 있고, 한국 문화산업에 상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목적에서 본 연구는 튀르크 설화가 지닌 ‘이야기’를 대상으로 한다. 민간에 전승되어 온 아나톨리아(터키) 튀르크 설화의 보편적 가치와 특수성을 탐색하고 다양한 매체로 재창조 될 만한 대표 이야기를 선정한다. 선정된 이야기는 주요 모티프 별로 묶어 소재, 주제, 관련 민속, 신앙 등의 관점 등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The paper attempts to rediscover the educational, cultural, and economic value of Turkic folktales as an infinite source of cultural assets, aiming to utilize folktales as a new source for creativity. It explored and analyzed Turkic folktales particularly originating from Anatolia, which has long been ignored in the Korean cultural market. In order to enhance the imaginative powers of Korean cultural industry, Turkic folktales were studied as a subject. Their universal value and uniqueness,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in Anatolia, were examined, and representative stories with potential to be recreated into diverse media were selected. Finally, selected stor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ajor motifs and were analyzed in terms of material, theme, related folkloric customs, and belief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undation to recreate the stories accumulated by Turkic people as modern and popular cultural contents.

Ⅰ. 서론

Ⅱ. 본론

1. 튀르크 설화 주요 모티프

2. 튀르크 설화 금기 모티프

3. 튀르크 설화 여성인물

4. 튀르크 설화 귀신 알 카르스

5. 튀르크 설화 모티프와 활용 가능성

Ⅲ. 결론

(별첨) 설화예시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