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2746.jpg
KCI등재 학술저널

체육계열 학과 대학생의 특수목적영어에 대한 요구 탐색

An Investigation o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Related Major Student s Need of English for Specific Purpose

  • 130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계열 학과 대학생들의 특수목적영어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는 데 있었다. 수도권에 위치한 한 종합대학의 체육계열 학과 재학생 6명이 본 연구에 참여했으며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 전원이 수강한 스포츠교육학 영어강의를 한 학기 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영어권 국가에서 취학 또는 어학연수 경험이 있거나 재학 중인 대학의 전공 영어강의와 사설 영어학원에 지속적으로 수강하며 영어능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학부생들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영어강의 참 여태도 관찰과 그들과의 특수목적영어 교육에 관한 심층면담을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장기간 영어권 국가 체류 경험과 지속적인 영어 학습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영어능력향상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한 실효성 있는 영어교육과 학습에 대한 다양하고 명확한 요구를 지니고 있었다. 이들의 특수목적영어 교육에 대한 요구는 영어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 중 특정 영역에 대한 유창함을 추구하는 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요컨대, 본 연구에 참여한 체육계열 학과 대학생들은 이들을 위한 특수목적영어 교육에 대해 큰 관심을 보였지만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 측면에서 기존의 영어교육과 차별화되지 않으면 교육의 실효성을 기대하기 힘들 것이라는 의견이 뚜렷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와 관련 선행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특수목적영어 교육에 대한 체육계열 전공대학생들의 요구는 실효성을 기대할 수 있는 영어교육, 즉 자신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영어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켜줄 수 있는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이 선택된 영어교육에 대한 바램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형식적인 영어교육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영어교육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related major student s perceptions of English for Specific Purpose(ESP). 6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ed a sport pedagogy course(English lecture) which an author of the study proceeded during 16 week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nd each participant had 3 interviews with authors of the study. During the interview questions about participants English ability, perceptions on necessity of learning English, and need of ESP were provided. According to the results, participants had a negative perspectives on practicality of their own English ability. But they have set up high level of English learning focusing on fluent command of English. Regarding necessity of ESP participants commonly agreed the need of ESP for their English and their needs of ESP highlight how to improve practicality of education by considering education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