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2751.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 역사학습의 비공식적 역사읽기 방안

A Study on Reading Unofficial History in Elementary History Learning

  • 115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학교수업과 교과서를 통한 공식적 역사학습 외에 다양한 경험을 통해 역사지식을 획득한다는 사실에 주목하며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경험하는 역사를 총칭하여 비공식적 역사(unofficial history)로 규정한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역사경험은 학생들이 기록으로 존재하는 역사지식을 구체적으로 표상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역사를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러나 이러한 경험에는 사실의 진위여부나 해석의 타당성이 검증되지 않은 영역들도 존재하며, 그 중의 일부는 학생의 역사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역사학습에서 비공식적 역사가 지니는 긍정적 측면에 주목하되, 학생들이 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역사적 의미를 생성하는 읽기 경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비공식적 역사읽기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사료읽기, 다중텍스트 읽기, 비판적 역사읽기 이론을 참고하였다. 구체적인 역사읽기 절차는 ①공식적 역사의 공백을 보완하며 당대의 상황과 맥락에 비추어 의미를 구성하는 맥락적 읽기, ②다양한 역사적 행위자들의 입장에서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는 해석적 읽기, ③역사적 사실을 평가하고 학생의 관점에서 역사적 판단을 수행하는 평가적 읽기, ④텍스트 생산의 의도나 목적, 텍스트 내용의 해석, 텍스트에 깔려 있는 저자의 관점 등을 추론하며 읽는 비판적 읽기로 세분화하였다. 초등학생들에게 비공식적 역사읽기를 적용할 때, 의미 있는 교육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역사적 사건은 첫째, 공식적 역사에서 언급하지 않거나 혹은 간략하게 서술되어 다른 역사서술의 보충이 필요한 경우, 둘째, 사건의 결과가 당시 여러 계층의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큰 경우, 셋째, 해당 역사적 사건에 대해 다양한 평가가 공존하는 경우 등이다. 조사연구에서는 이러한 성격을 가진 ‘고려의 대몽항쟁과 원의 간섭’에 관한 어린이용 역사서를 선정하고 학습 방안을 구체화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공식적 역사읽기 학습을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학생들은 비공식적 역사읽기를 통해 역사적 사건이 발생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복합적인 요인들이 관여함을 인식하였고, ②다양한 역사적 행위자의 입장에서 사건을 바라보고, 해석해 보는 기회를 가졌다. ③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을 평가하는 내용을 읽고 이를 학생의 관점에서 판단하였으며, ④동일한 역사적 사건을 달리 나타낸 여러 텍스트를 비교하며 읽고 역사의 다원성을 체험하였다. ⑤학생들은 텍스트 속에 내재된 저자의 의도를 찾아 읽으며 비판적 역사읽기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학생들이 역사를 이해하는 과정에는 공식적 역사학습 경험, 기존의 배경지식, 일상생활 속의 역사체험과 같은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역사경험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학생의 역사인식으로 나아가는지 살피기 위해서는 그들의 사적 역사(private history)에 대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논의가 계속되어야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quire historical knowledge through various experiences besides official history learning through school classes and textbooks, and defines the history that they accept through daily experiences as ‘Unofficial History’. The historical experiences outside school history help students to extend their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to view historical facts from a new perspective. Unofficial history has some influences on students’ historical recognition, but there are some contents which have not been verified for authenticity or validity of interpretations in unofficial history text. This study purposed to develop strategies for reading historical facts in unofficial history texts,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multiple historical meanings and the positive aspect of unofficial history. In order to develop a procedure for reading unofficial history, this study reviewed theories on reading historical texts and the critical reading of history. Therefore the procedure is concretely classified into ① contextual reading which complements the blanks of official history with unofficial history and constructs meaning in light of the circumstances and context of the time, ② interpretative reading which gives historical meaning from the positions of historical actors and ③ evaluative reading which assesses historical events and makes a judgment from the student’s points of view, ④ critical reading which finds intention or purpose of text generation, interpretation of text. Historical events that can lead to meaningful educational effects when applying unformal historical reading to elementary students are: first, not mentioned in the official history or are briefly described, requiring supplementation of other historical descriptions; second, the impact on the lives of the people at different level is large. Third, there are various opinions and evaluations about the historical events. To identify the effect of reading strategies for unofficial history, this study examined 6th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in children’s history trade books that focused on the ‘Goryo-Mongol War and Mongolian Interference’. The results of reading unofficial history are as follows; Students came to ① be aware of the complex elements involved in a series of historical events, ② have an opportunity to interpret events from the multiple perspectives of historical actors, ③ evaluate historical figures or events and judge them with perspectives of themselves, ④ compare several texts which describe historical events in different ways and experience the pluralistic nature of history, and ⑤ recognize the necessity of critical reading while actively searching and finding out the intent of the authors implied in the text. Multiple factors such as learning experience of official history, prior knowledge and historical experiences in daily life are included in the students’ process of historical understanding. Therefore, in order to examine how these historical experiences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lead to students’ historical recognition, some more discussions need to be continued on their private histories.

내용요약

Ⅰ. 들어가며

Ⅱ. 비공식적 역사의 성격과 초등 역사학습

Ⅲ. 비공식적 역사읽기 유형 개발

Ⅳ. 비공식적 역사읽기 사례

Ⅴ. 나오며

[부록]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