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과 공격성의 이중매개효과
In the Impact of Academic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Teenagers - Focusing on Dual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4 No.6
-
2018.0677 - 90 (14 pages)
-
DOI : 10.14251/crisisonomy.2018.14.6.77
- 이용수 738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과 공격성의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270명을 조사하여 스마트폰 중독 성향이 높다고 판단되는 250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21.0), AMOS(21.0)의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중독 그리고 우울과 공격성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성을 갖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중 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과 공격성이 이중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스마트폰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the impact of academic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teenagers in Korea. Among 270 teenagers attending high school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250 were found to be highly addictive to smartphone and selected for our final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analyses done by SPSS/PC (21.0) and AMOS (21.0)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between depression and aggression among teenagers. Second, depression and aggression had dual mediating effects in the impact of academic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teenagers.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the need to develop a program to prevent teenagers from being addicted to smartphon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1)
- 환경공간정보 및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화학사고 위해성평가
- 미래 초대형 중대재난 예측 시나리오 탐색 연구 - 풍수해 재난 사례를 중심으로 -
- 여성장애노인의 빈곤실태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청주 무심천 유역의 2017년 7월 16일 홍수사상을 반영한 설계홍수량의 산정
- 인접국 원전사고시 G-CIEMs 모형을 이용한 오염 확산 영향 분석 - 충주댐에서 이포보하류 구간을 중심으로 -
- 유해화학물질의 지역사회 주민고지 활성화 방안 연구 - 주민고지시스템을 중심으로 -
-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과 공격성의 이중매개효과
- 지방자치단체의 갈등영향분석 현황과 예방적 적용의 장애요인 분석
-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윤리 - 공동체기반 재난위험감소는 공동체주도인가?
- 공간환경에 대한 정량적평가와 개선 효과 시뮬레이션 - 인천시의 공간환경을 대상으로 -
- 침투모형시험 및 수치해석을 통한 침투특성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