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간환경에 대한 정량적평가와 개선 효과 시뮬레이션 - 인천시의 공간환경을 대상으로 -
Quantitative Evaluation of Spatial Environment and Simulation of Improvement - Case of Incheon City -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4 No.6
- : KCI등재
- 2018.06
- 117 - 127 (11 pages)
본 연구는 공간환경을 구성하는 대상물에 대한 정성적평가의 계량화를 통하여 공간환경 전체를 평가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공간환경 개선 효과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연구이 다. 이를 위해 인천시의 독특한 공간환경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참여응답자를 대상으로 인상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분석하여 대상물의 분류를 위한 계량화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에 개선 효과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공간환경을 구성하는 각대상물이 공간환경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 공간환경을 구성하는 각 대상물에 대한 인상평가의 계량화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이 지역에서의 공간환경 개선 효과를 효율적으로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간환경의 계량화와 이를 이용한 시뮬레 이션방법은 공간환경을 평가하고 디자인 하는데 유효한 방법으로서 대피소에서의 공간구획 기술및 공간환경 개선을 설정함에 있어 매유 유용한 방법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to quantify and classify the components constituting spatial environment and to simulate the effect of each component to improving spatial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the unique spatial environment of Incheon city as a study site and conducted an impression evaluation survey of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and their impression was analyzed quantitatively by using the quantification theory Ⅲ and cluster analysis, which was used to simulate the effect of improving spatial environment. As a result, we identified the influence of each component on the evaluation of spati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overall improvement effect of spatial environment.
Ⅰ. 서 론
Ⅱ. 분석 방법
Ⅲ. 분석결과
Ⅳ.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