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3695.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방송 뉴스 자살 보도 시 미화법 사용과 배경 설명이 대학생의 자살 관련 인식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News Reports’ Glamorized Expressions and Explanation of background Affect Awareness toward Suicide

  • 644

본 연구는 미디어가 자살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자살자의 행동을 미화하거나 자살 사건의 배경을 설명함으로써 대중의 자살 관련 인식(자살, 자살자, 자살 보도)의 변화가 일어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자살 보도 시 “미화법(사용 vs. 미사용: 동반 자살 vs. 살해 후 자살)”과 “배경 설명(유/무)”에 따라 4가지 조건을 다르게 조작하여 영상물을 제작하고, 서울 시내 대학생 120명을 각 조건에 무작위로 할당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그룹은 영상 시청 전과 후에 설문에 응답하였고, 일부 피험자들은 실험과 관련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동반 자살’ 표현을 포함한 경우 자살 보도의 왜곡성과 위험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배경 설명’을 추가한 경우 자살 보도의 왜곡성과 위험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자살과 자살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수준은 낮았다. 다음으로 ‘살해 후 자살’ 표현을 사용하고 ‘배경 설명’을 추가하지 않은 경우 자살 보도의 왜곡성과 위험성 인식 수준은 가장 낮으나, 자살자 행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동반 자살’ 표현을 사용하고, ‘배경 설명’을 추가 한 경우 영상 시청 전보다 자살에 대한 부정성 인식이 낮아졌다. 본 연구결과, 자살보도 권고기준의 핵심항목이자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자살에 대한 미화법 사용’과 ‘자살 사건에 대한 배경 설명 추가’ 여부가 자살 관련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향후 더욱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자살 관련 미디어 콘텐츠 권고방안 마련을 위한 소중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lamorous portrayal of suicide and explaining background of suicide on perception of suicide. The study was a 2 (glamorous portrayal: using vs. not using) x 2 (explaining background: using vs. not using)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online experiment. In addition, some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interviewed. The findings from an experimental study (N = 120) suggested that distortion and riskiness of suicide were greater in the condition of using glamorous expressions and explaining background of suicide compared to not using those expressions. In addition, participants who watched video included both independent variables had a lower negative perception on suicid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framed messages and realistic media contents and guidelines were discussed.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2. 이론적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