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3728.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과 평가 방향의 변화에 따른 대안적 평가 방안 탐색: 사회과 실제적 평가를 중심으로

An Exploration of Alternative Evaluation Methods in Response to the Changing Direction of Social Studies Evaluation: Focusing on Authentic Evaluation in Social Studies

  • 444

본 연구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함께 사회과 대안적 평가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사회과 실제적 평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가장 잘 드러내면서 사회과 교육의 목적과 평가 방향을 실현할 수 있는 대표적 평가 유형이다. 실제적 평가는 실제적 맥락 속에서 평가를 실시하고, 구성주의적 학습 과정, 고차적인 사고력, 의사소통 및 협업의 과정 등을 담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 의미의 수행평가와는 차이가 있다. 사회과 수업에서 실제적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해당 교과의 성취기준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실제적 평가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실제적 평가의 핵심 요소를 평가의 기준으로 활용하고 채점 및 피드백 과정까지 이를 연계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 서는 중학교 사회 교과에 실제적 평가를 활용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a new direction for the alternative evaluation of social studies in response to new changes in the 2015 revised socail studies curriculum. Authentic evaluation of social studies is a representative form of evaluation that well demonstrates the educational goal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t the same time, it best realized study objectives and evaluation direc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uthentic evaluation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performance evaluation, as the former is conducted within practical contexts and requires a constructivist learning process, high-level reason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order to implement authentic evaluation in real classrooms,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evaluation method should be first systematically analyzed in order to determine application of authentic evaluation. In this process, various components of authentic evaluation can be used as determining criteria. Based on the above, the study presented examples in which authentic assessment could be used for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lasses.

Ⅰ. 서 론

Ⅱ. 사회과 평가 방향의 변화

Ⅲ. 사회과 대안적 평가와 실제적 평가

Ⅳ. 사회과 실제적 평가의 사례

Ⅴ. 요약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