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과정에 관한 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인 임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는 전문적인 산림산업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신설된 특성화고등학교이다. 정부는 여러 산업분야에 특화된 전문 기능인을 양성한다는 목표 아래 지속적으로 특성화고등학교를 육성해왔다. 그러나 다양한 산업 현장에 맞게 조정된 전국의 특성화 고등학교들이 원래 교육정책의 계획대로 전문 기능인들을 양성해낼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임업 특성화 고등학교 정책의 성공 여부는 행위주체인 교사에게 달려 있다고 가정하고, 그들이 학교 현장에서 겪는 경험이 분석하기 위해 단위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전공교사2 명, 산학교사2명, 학급 담임 교과교사3명이 면담에 참여하였다. 면담 분석 결과 교사들은 임업전공교사 부족, 임업 관련 실습시설 부족, 임업 전공교재 부족, 불명확한 진로지도를 포함한 문제점을 교육과정 실행의 구조적 제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들은 스스로 열정과 의지를 가지고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특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해나가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부는 교사를 교육정책 실행과정에서 주체로 인식하고 그들이 전문가로서 가지는 가치판단을 교육정책과정에서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A forestry specialized high school is one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which have been developed as part of recent education policies to improve the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in Korea. Assuming that existing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trained simple low skilled workforce, the government has continuously fostered specialized high schools with the goal of nurturing a new highly skilled labor force. As a result, the number of specialized high schools has been radically increased and their types have been diverse. However, it is still questionable whether specialized high schools nationwide can implement the curriculum which has been planned in order to nurture specialized professionals who are able to adapt to new changes in the industrial field.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in the forestry specialized high school. As this study pursued the goal, the research defined teachers as active agents who can bring actual success to the current specialized high school policy of the government. This study also tri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idealism and reality of the policy by listening to the teachers who have actually implemented the curriculum.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과 절차
Ⅳ. 연구결과
V.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