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3925.jpg
KCI등재 학술저널

탈식민기 세계여행기 개관 - 단행본 세계여행기와 시기별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The Opening of the World Tour de Decologies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World Travel Time in the Book of Korea

  • 103

이 논문은 탈식민기(1950~1980)에 생산된 단행본 세계여행기의 흐름과 양상을 일별하여, 시기별 특징적인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연구는 탈식민기 세계여행기의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를 위한 기초작업 으로, 단행본 세계여행기의 전반적인 흐름과 양상을 개관하여 본격적인 후속 연구의 밑거름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탈식민기 세계여행기는 두 가지 점에서 특징을 지닌다. 하나는 세계에 관한 지식을 전달하는 계몽적 매체라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순수한 개인적 글쓰기로서 미학적인 매체라는 점이다. 전자는 1950~60년대 세계 여행기의 특징이고, 후자는 1970년대 세계여행기의 주된 양상이다. 모든 세계여행이 국가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고 또 통제되는 1945-50년대 세계여행기는 국가의 외교 업무와 대외 사업을 수행하는 공무에 관한 기록으로서 시찰기에 가까웠다. 1960년대 세계여행기의 주목할 텍스트는 김찬삼의 세계여행기다. 김찬삼의 ‘세계일주기’는 세계여행기의 분야에서 정전으로서의 지위를 누리는 텍스트로, 그의 등장은 탈식민기 세계여행기의 역사를 그 전과 후로 나누는 분기점이다. 그의 세계여행기는 기본적으로 세계 지역에 대한 백과사전적 지식의 보고였다. 또한 김찬삼의 세계여행기는 미국과 유럽의 서술 비중이 적다는 점에서 표면상 서구중심주의적 시각에서 상당히 벗어나 있다. 김찬삼 이후 세계여행기는 탈정치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천경자와 최인호의 여행기 등은 공적 책무 없이 자유롭게 세계 각국을 돌아다니며 여행에서 느낀 주관적인 감회와 여행담을 적었다. 1960-70년대 세계여 행기는 구미중심의 지역적 편중에서 벗어나 ‘세계’의 영역을 확장했다. 내용면에서도 정치 담론이나 교양으로서의 성격에서 벗어난 순수한 여행담이 등장하며 여행기들이 다채롭게 분화했다.

This paper wanted to examine the trend and aspect of the travel period of the world book produced in the post-colonial period (1950-1980). This study is a basic work for systematic analysis and study of the post-colonial world travel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utline the overall flow and aspects of the world travel period in book series to lay the foundation for further study. The post-colonial world travel season is characterized in two ways. O ne is that it is an enlightened medium for conveying knowledge about the world and the other is aesthetic for purely personal writing. The former is the hallmark of the 1950s and 60s world travel, and the latter is the main aspect of the 1970s world travel. In the 1945-50 century, when all world travel was almost wholly dependent and controlled on the state, the World Travel Period was more like an inspection period, a record of the nation s diplomatic and foreign operations. The notable text of the 1960s world travel season is Kim s world travel period. Kim Chan-sam s ‘World Day of the Day’ is a text that enjoys a blackout status in the field of world travel, and his appearance is a turning point that divides the history of post-colonial world travel. His world travel journal was basically a repository of encyclopedic knowledge of the world. Also, Kim Chan-sam s global travel journal is apparently far away from the Westernized view in that it has little narrative interest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fter Kim Chan-sam, the world s tourist plane has been deliberated. Chun Gyeong-ja and Choi In-ho s travel tours freely travel around the world without any official responsibility, recording the subjective feelings and stories of their trips. In the 1960s and 1970s, the world travel era expanded its ‘world’ territory away from the regional bias in the center of Europe and America. In terms of contents, travel periods diversified in various ways, with stories about politics and pure travel beyond the nature of culture.

1. 서론

2. 1945-1960년 세계여행기의 양상:

아시아에서 미국으로

3. 1960-70년대 세계여행기의 양상:

김찬삼의 ‘세계일주문전여행기’와 세계여행기의 탈정치화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