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3923.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천 최명길의 사상적 배경과 주화론

Jicheon Choi Myeonggil s ideological background and Juhwaron

DOI : 10.52557/tpsh.2018.111.5
  • 955

최명길은 정묘 병자호란 때 주화론을 주장하고 제도 개혁에 앞장선 인물이며, 양명학과 상수 학을 연구한 학자이다. 현재 그의 주화론은 병자호란 때 국난을 극복할 수 있었던 원동력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주화론은 權道論, 外藩論, 宗國保存論에 논리적으로 근거하고 있다. 첫째, 조선은 현실적 상황 변화[時]에 따라 후금(청)과의 관계를 재설정할 수 있다. 둘째, 조선은 명나라의 外藩이기 때문에 內服臣과는 다르다. 셋째, 나라를 보존해야 한다. 최명길의 주화론은 기본적으로 유가 철학 전반에 근거하고 있다. 최명길이 양명학을 연구하였 다고 하여 주화론 역시 양명학의 영향으로 보기도 하지만 상대주의적 관점은 스승 신흠을 통해 전해 받은 소옹 상수학에서 계발된 것이다. 그는 상수학을 통해 세상을 음과 양이 서로 의지하는 관계로 인식하였고, 夷狄과 小人의 존재도 현실로 인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명길은 정묘 병자호란 때 후금(청)과 강화를 주장할 수 있었다. 다만, 척화론자들의 비난을 받으면서도 후금(청)과의 강화를 주장해 나가는 과정은 양명학의 치양지에서 영향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비난이라는 외물에 영향 받지 않고 자신의 진실된 마음을 발현 시켜 나갔기 때문이다.

Choi Myeonggil(崔鳴吉) was a person who advocates a Juhwaron(主和論) and leads the system reform. And he studied the Yangming and Sangsuhak(象數學). His Juhwaron is currently being evaluated as a driving force to overcome the crisis in Jeongmyohoran(丁卯 胡亂) and Byeongjahoran(丙子胡亂). His argument was logically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Joseon could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with Hugeum(Cheong) according to the actual situation change. Second, Joseon was an outer clan of the Ming Dynasty, so it was different from inner clan of the Ming Dynasty. Third, the country must be preserved. He claimed the Juhwaron basically based on Confucianism. Since he studied Yangming, it was also influenced by Yangming. His relativistic viewpoint, however, was developed in the Sangsuhak(象數學), which was passed through the teacher Sin Heum(申欽). Through Sangsuhak, he recognized the world as a relationship in which Yin and Yang rely on each other. Furthermore, the existence of the barbarians and the humble people could be recognized as reality. From this point of view, he was able to assert a peace treaty with Hugeum(Cheong) in Jeongmyohoran and Byeongjahoran. However, it was influenced by Yangming to claim the peace treaty under the criticism of the opponents. It was because it expressed the true heart of oneself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outline of blame.

Ⅰ. 머리말

Ⅱ. 최명길의 사상적 배경

Ⅲ. 주화론의 논리적 근거와 그 특징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