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3923.jpg
KCI등재 학술저널

남한강유역 구석기 신자료의 성격과 의의 -최근 10년간(2009~2018) 조사·보고된 주요 한데유적을 중심으로-

Chracteristics and Significations of the Recently Excavated Paleolithic Sites in the Namhan River Basin

  • 164

최근 10년간 조사·보고된 남한강유역 구석기 신자료에 대한 연구는 10개의 주요 한데유적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적은 남한강의 상류에 비해 하류에 집중되며, 하안단구 상부의 점토층이나 산록완사면 말단에 퇴적된 점토 및 사질점토층에서 석기가 출토된다. 석기가 출토되는 퇴적층은 기존 연구를 통해 네 매로 구분할 수 있다. 최상부는 A퇴적층(16~15ka 이후)으로 단양 수양개 지구 1유물층, 원주 송호동 1유물층과 보통리 1유물층, B1퇴적층(40~16ka)에는 평창 송정리 1유물층, 단양 수양개 지구 1·2·3유물층와 수양개 지구 2·3·4유물층, 제천 고명동 세거리 3유물층, 충주 송암리 왜실 1유물층, 원주 신평리 유물층과 송호동 2유물층 그리고 보통리 2유물층, 여주 연양리 1유물층, B2퇴적층(65~40ka)은 평창 송정리 2유물층, 제천 고명동 세거리 1·2유물층, 충주 송암리 왜실 2유물층과 호암동 1유물층, 원주 보통리 3유물층, 최하부는 C퇴적층(65ka 이전)으로 충주 호암동 2·3유물층, 여주 연양리 2·3유물층이 포함된다. 대부분의 유적에서는 석영계돌감이 우세하지만, B1퇴적층부터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이 등장하면서 기타 돌감이 증가하고 있다. 석기공작은 찍개 위주의 대형석기에서 소형석기 중심 공작으로 전환되며, 소형석기는 점차 소형화된다. 구석기 신자료의 의의는 중기 구석기시대에는 절대연대 자료의 추가 확보, 찍개 중심 석기공작과 지역성, 중기 구석기시대 말기 석기공작의 확인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후기 구석기시대 에는 여러 지역에서의 유물층 확인, 돌날 기법의 기원·출현과 (재)확산, 좀돌날 기법 관련 유적의 추가 확인, B1퇴적층 내 유물층의 세분 가능성이 주목된다.

The study of recently excavated paleolithic sites in the Namhan river basin was conducted in 10 main open sites. The sites were concentrated in the downstream, compared to the upstream. artifacts were excavated in the clay deposit above the river terrace and the clay or sandy clay deposit at the end of the pediment. Layers which artifacts were excavated are divided into four parts by conventional research. The uppermost part is A layers group (after 16~15 ka), 1st artifacts layer at Botong-ri, Songho-dong and Suyanggae Loc. . The B1 layers group (40~16 ka) include artifacts layer at Sinpyeong-ri, 1 st artifacts layer at Songjeong-ri, Songam-ri and Yeonyang-ri , 2 nd artifacts layer at Songho-dong and Botong-ri, 3 rd artifacts layer at Gomyeong-dong, 1st and 2 nd , 3 rd artifacts layer at Suyanggae Loc. , 2 nd , 3 rd and 4 th artifacts layer at Suyanggae Loc. . The B2 layers group (65~40 ka) include 1 st artifacts layer at Hoamdong, 2 nd artifacts layer at Songjeong-ri and Songam-ri, 3 rd artifacts layer at Botong-ri, 1 st and 2 nd artifacts layer at Gomyeong-dong. The lowest part is C layers group (before 65 ka), 2 nd and 3 rd artifacts layer at Hoam-dong and Yeonyang-ri . While quartz-quartzite raw material is dominant in most sites, other raw materials are increasing with the emergence of the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from the B1 layers group. The stone industry is transformed from large tools centered on chopper-chopping tools to small tools, and small tools are gradually miniaturized. The significations of the Recently Excavated Paleolithic Sites can be summarized addition of absolute dating data to the middle paleolithic,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tone industry centered on chopper-chopping tools and confirming stone industry in late middle paleolithic. In the upper paleolithic, it is noteworthy that the identification of artifacts layer in many areas, the origin, emergence and diffusion of the blade technique, additional confirmation of sites related to the micro-blade technique and providing evidence of artifacts layer classification in B1 layers group.

Ⅰ. 머리말

Ⅱ. 신자료 유적 개관

Ⅲ. 신자료의 성격

Ⅳ. 신자료의 의의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