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7월 19일 월북작가 작품들이 ‘해금’되었고, 출판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실제 월북작가들의 작품집 출판 상황을 살펴보면, 해금의 시간에 어긋나 있는 출판물이 적지 않다. 이 점에서 정부의 공식적인 ‘해금’과 어긋나는 시간, 주체, 사건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은 출판사, 비평가·연구자, 독자의 상호작용과 문화적 실천에 유의하여 1985-1989년 ‘해금’을 전후한 시기 월북작가들의 작품 출판 상황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On July 19, 1988, the prohibition of writers went to North became released. Looking at the actual publishing situation of books by writers went to North, however, there are not many publications deviating from the time of de-prohibition. In this regard, it can be seen that time, subject, and event are contrary to the of de-prohibition of government. This paper examines the publishing situation of books by writers went to North, regarding interactions of readers, critics & researchers, and readers. This paper attempted to describe the situation of the publication of books by writers go North during the period between 1985-1989 empirically.
1. 서 - 1988년 7월 19일에 관한 두 가지 질문
2. 7·19조치 이전의 단행본 및 전집 출판
3. 7·19조치 전후의 영인본 출판
4. 7·19조치 이후의 단행본 및 전집 출판
5 결 - ‘해금’의 역사적 탈구축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