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형리더십이 호텔직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 크래프팅(job crafting) 매개효과

The Effect of Korean type Leadership on the Performance of Hotel Employee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Crafting

  • 155
143926.jpg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 직원들이 지각한 한국형리더십의 요인이 직무 크래프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분석을 하고, 직무 크래프팅의 매개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서는 직무 크래프팅, 직무성과의 2가지 변수를 선정하고 한국형리더십의 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보기 위해 특급 호텔 직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의 검증은 SPSS 22.0과 AMOS를 통해 실시하였고,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형리더십은 직무 크래프팅에 영향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가설 1은 채택되었다. 둘째, 한국형 리더십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로 나타나 가설2는 기각 되었다. 셋째, 직무 크래프팅은 직무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그에 따라 가설3은 채택되었다. 넷째 직무 크래프팅은 한국형리더십과 직무성과에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4는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인적자원을 중요시 하는 호텔산업에서 호텔 조직 리더의 한국형리더십이 조직의 효율성과 경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of Korean type leadership perceived by hotel employees o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job craf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type eadership partially affects job crafting(perception, relationship, task). First, Korean type leadership confirmed that there was an influence relationship in job crafting, so hypothesis 1 was adopted. Second, Korean type leadership showed no significant impact on job performance and hypothesis 2 was rejected. Third, job crafting influenced job performance, and Hypothesis 3 was adopted. Fourth Job crafting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betwwen Korean type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Thus hypothesis 4 was adopted.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hotel leadership in the hotel industry, which emphasizes human resources.

Ι.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설계

IV. 연구결과

V.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