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037.jpg
KCI등재 학술저널

唐代 중후기 통속서사 사본에 대한 문화사적 해석 ― <伍子胥變文>의 교정 방식을 중심으로

A Culture-historical Interpretation of Popular Narrative Manuscripts in Mid-and Late Tang Periods ― Focusing on the Correction of Wu zixu bianwen manuscripts(伍子胥變文)

  • 126

본 논문은 매체 문화사의 관점에서 唐代의 통속서사 사본을 살펴보고 있다. 중국 역사에서 당대는 다양한 외래문화가 가장 유행한 시대였고 이러한 시대적 특성은 필사본이라는 매체에도 반영되었다. 인쇄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직전 최전성기의 당대 필사본이 자유롭고 유연한 매체의 특징을 보여준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보수성’이 매체의 기본 적인 특징임을 전제한 후, 매체의 활용에 있어서 서양과 동양의 차이에 대해 논했다. 원심의 방향으로 진행된 서양 인쇄 매체의 특징이 동양에서는 인쇄보다 앞선 사본의 시대에 오히려 더 두드러졌다. 돈황에서 발견된 수많은 사본들이 이러한 특징을 대변해준다. 인쇄 매체보다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쓰고 고칠 수 있는 필사의 본질이 이를 가능케 한 것이다. 그래서본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돈황본 <오자서변문> 사본의 교정방식을 중심으로 그 시기 통속서사 사본이 갖는 문화적, 문학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오자서변문> 사본은 그 자체가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라는 서로 다른 전통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이 서로 다른 사본 텍스트의 교정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 당대 필사본의 유연성은 매체의 보수성과 오히려 조화를 이루면서 인쇄 시대를 지연시키고, 한편으로는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당대의 필사본이 그 시대의 다양한 이야기와 정보들의 담지체가 되었다고 할 수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manuscripts of the popular narratives of Tang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culture history. Tang Dynasty was the most popular era in Chinese history for various foreign cul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were also reflected in the media of manuscripts. Before the period of printing began in earnest, the manuscripts in its golden ag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 free and flexible media. In this paper, I discuss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in their use of media, assuming that ‘conservatism’ is a basic characteristic of the media. In the Ea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stern printing culture, which was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were more prominent in the era of the preceding manuscripts than the printing. Numerous manuscripts found in Dunhuang 敦煌 represent these features. The essence of a manuscript’s relatively free writing and correction rather than printing made this possible. And in the second half of this paper, I examined the cultural and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the popular narrative manuscripts of the period, focusing on the method of correcting of Wu zixu bianwen(伍子胥變文) manuscripts. These manuscripts themselves have different traditions of oral culture and written culture, and these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through the correction of different manuscript texts. In conclusion, the flexibility of manuscripts in Tang dynasty, in harmony with the conservatism of the media, could delay the printing era. On the other hand, for this very reason, the manuscripts of Tang dynasty could become useful media for various stories and informations of the time.

1. 문제 제기: 돈황 사본의 자료적 대표성과 원본 이미지

2. 변화를 경계하는 ‘매체의 보수성’

3. 인쇄 문화: 원심의 서양과 구심의 동양

4. <오자서변문> 사본 교정 방식의 문화사적 의미

4.1 S.328 사본 <오자서변문>의 교정방식과 그 의미

4.2 P.3213 사본 <오자서변문>의 교정 흔적

5. 나오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