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정사》에 존재하는 평어의 양상과 평자들의 실체를 파악한 뒤, 평어에 드러난 정교사상의 실상과 이를 중심으로 한 문학사상적 추이에 대해 살핀 글이다. 여기서 다룬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사》에 드러난 평점의 양상을 관찰하여 《정사》에서 평집 의도를 내포하고 있는 실질적 의미에서의 평어는 결국 贊 2條를 포함한 문후평과 권말평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문후평과 권말평을 평어 안에 평자의 名字이나 字號가 기재되어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記名 評語’와 ‘無記名 評語’로 나눈 뒤, 記名 評語를 ‘원작자 평어’와 ‘평집자 평어’, ‘제3자 평어’로 다시 세분해 설명했다. 그 과정을 통해 이들 평어에는 평집자 자신은 물론 明人들의 철학및 가치관이 전면적으로 반영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奇女子傳》의 평어가 대량으로 《정사》 에 이입되어 《정사》 평론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리고 《정사》에 존재 하는 평어의 전체적인 양상을 제시한 뒤, 거기서 드러나는 다양한 의미에 대해 짚었다. 《정사》에 드러난 ‘情教’에는 情을 교의로 삼는 일종의 종교를 뜻하는 ‘崇情’의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교의 문학사상적 의도는 인간의 보편적 정서인 정의 효용성을 드러 내고 그 가치를 믿어서 문학 작품을 통해 정의 위대성을 보여줘 그것으로써 사람을 교화시 키려는 데 있었던 것이다. 풍몽룡의 문학사상적 추이의 핵심은 ‘情에 대한 인식변화’와 ‘敎化 性’이라고 할 수 있으며 重情思想에서 情敎思想〔崇情 + 敎化〕 그리고 교화사상으로 옮겨 간다고 보았다. 정교사상을 담고 있는 《정사》는 풍몽룡의 문학사상적 측면에서 볼 때 그 전환기적 의미를 지닌다고 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ritical remarks in Qingshi, and ‘Qingjiao ideology’ expressed in those critical remarks. The significant value of Qingshi is in that it highly influenced the Chinese and Korean novels. The main literary value of Qingshi is in critiques and the critics’ original philosophy. This study studied the critical remarks in Qingshi based on these facts. This study was able to affirm that the philosophy of Ming―men and Feng Menglong himself was totally reflected in the critical remarks in Qingshi. Also, it was able to find out that the book which influenced the critical remarks in Qingshi the most is Giyeojajeon written by Jinwon Oh. It identified that the ‘Qing’ and ‘Qingjiao’ Feng Menglong meant to show were different from ‘Zhongqing’ Tanghyeonjo and Iji argued. Iji and Tanghyeonjo can be picked as one of the pioneering people who tried to civilize people through play, a genre of popular literature, and it is FenMenglong who took over this literary thought’s tradition and strived to reform people through popular literatures. Feng Menglong intended to reform people through gingjiao advocated in Qingshi, in other words.
1. 들어가는 말
2. 《情史》에 드러난 평어의 양상과 評者의 문제
2.1 《情史》 평어의 존재 양상과 그 의미
2.2 《情史》 評者의 실체와 評語의 출처
3. 《情史》의 정교사상의 맥락과 그 문학사상적 推移
3.1 정교사상의 의미와 그 실체
3.2 정교사상의 교화적 성격과 그 추이
4.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