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127.jpg
KCI등재 학술저널

토지재산권의 특수성과 토지공개념

The Specificity of Land Property Rights and Public Ownership of Land

  • 876

최근 토지공개념이 다시 뜨거운 이슈가 되었다. 토지의 편중은 토지의 합리적 이용에 막을 뿐만 아니라 토지를 투기의 대상으로 삼아 불로소득을 양성하는 등 재산권 무질서를 초래한다. 또한 토지를 기초로 삼아 이루어지는 인간의 다양한 기본권 영위행위 및 생산활동를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토지재산권에 대한 고양된 규제의 형태로 토지공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토지공개념은 헌법 제23조 제2항의 재산권의 사회적 구속성과 헌법의 기본원리로서 사회국가원리, 헌법 제120조 제2항 및 헌법 제122조 등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토지공개념의 기초가 되는 소유권 이념은 토지를 소유하는 것이라는 관념에서 이용의 관점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토지의 특수한 성질과 이로 인하여 토지재산권에 가하여지는 제한을 검토하고, 토지재산권 제한의 헌법적 근거규정과 성격 및 토지공개념 입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례를 통하여 헌법체제하에서의 토지공개념 구현의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The bias of land not only prevents the rational use of land, but also raises the income of the land as a target of speculation, resulting in property rights disorder. The public concept of land ownership emerged in the form of enhanced regulations on land property rights, as it caused interference with various basic human rights activities and production activities. The concept of land opening can be found in the social structure of property rights under Article 23, Clause 2 of the Constitution and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such as social principles, Article 120 of the Constitution, and Article 122 of the Constitution. The ownership ideology underlying the concept of public ownership is to shift from the idea of ownership of land to the point of use. Such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land property rights are an effective way to regulate land so that it can be used effectively in human life and in production activities due to the liquefaction of land. In this article, the special nature of the land and the limitations imposed on it are considered. The Constitutional Court intends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 concept of public ownership of land under the Constitution through the provision of constitutional grounds for restrictions on land property right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s decision on the enactment of the principle of personality and land ownership.

Ⅰ. 시작하며

Ⅱ. 토지재산권의 특수성

Ⅲ. 토지공개념과 헌법적 근거

Ⅳ. 토지공개념 입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과 평가

Ⅴ. 마무리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