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re has been debate on whether police should be given greater investigative power such as giving police a mandate to close a case or file for an arrest warrant, independent of prosecutorial power. Readjusting the investiagtion rights and reforming the prosecution is also under key policy pledge by the Moon Jae-in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 said in mid-June it will empower police to conduct and close initial investigations in all cases independently of the prosecution as part of reform measures aimed at reducing massive concentration of investigative powers in the prosecution. The plans were outlined in an agreement reached by the prosecution and the police agency and wa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for review.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s and cons of the readjustment of investigation power and it analyzes the reform measures in the agreement for re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ecutors and police in readjusting their investigative jurisdictions. It concludes that the measures don’t correspond with their new ‘horizontal’ relationship and is in danger of reducing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investigation process. For th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investigation and enhancing protection of the rights of suspects, this article proposes reform recommendations, such as separating prosecutors for investigation from prosecutors for prosecution and adopting a prosecutor’s dispatching system to police s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검․경수사권 조정의 필요성 유무 관련 종래 학설 및 검․경 수사권 조정 합의안의 의의․내용
Ⅲ. 수사권 조정의 의의 및 합의안 내용의 타당성 검토
Ⅳ. 효율적․상호협력적 수사권 배분 방안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1)
- 刑 事 政 策 제30권 제2호 목차
- 2018. 6. 21.자 수사권 조정 합의문상 사법경찰관의 불송치결정에 대한 통제 방법에 관한 헌법적 분석
- 한국 형사사법제도에서의 견제와 균형 원칙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 검․경 수사권조정 합의안의 내용과 의미에 대한 일고
- 미투(Me Too)운동이 야기한 형사법적 쟁점 검토
- 검․경 수사권 조정 정부합의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및 합리적 대안 모색
- 검·경 수사지휘 논의에서 잊힌 문제-특별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수사지휘-
- 경찰 수사개혁의 성과와 과제
- 청와대의 ‘수사권 조정안’과 검찰 개혁
- 사법경찰관의 ‘1차적 수사종결권’의 법제화 방안
- 수사절차에서 1차 수사종결권에 대한 고찰
추천 논문
-
Yeats의 귀족주의와 초기시의 성격KCI등재김철수 한국영미어문학회 영미어문학 영미어문학(TAEGU REVIEW) 제46호 1995.04
-
노영돈 한국독어독문학회 독어독문학 45(4) 2004.12
-
조은라 유럽문화예술학회 유럽문화예술학논집 10(1) 2019.03
-
박수인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52(4) 2018.09
-
니체의 관점에서 본 예이츠의 귀족주의적 비전KCI등재서지윤(Jiyun Seo) 한국예이츠학회 한국 예이츠 저널 65권 202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