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판 DIT를 통한 청각장애아동과 가청아동 간의 도덕성 발달 특성 비교

Compar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Morality betwee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Auditory Children by DIT

  • 77
144177.jpg

이 연구는 청각장애아동과 가청아동 간의 도덕성 발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DIT (Defining Issues Test)를 적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청각장애학교와 일반학교에 통합 중인 초등학교 4, 5, 6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청각장애아동으로 부가장애가 없는 131명과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동일 연령의 가청아동 118명이다. 두 집단 간 행동선택과 도덕판단력 비교는 카이제곱검증과 독립표본 t검증 및 일변량 분산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간 갈등상황에 대한 행동선택에서 청각장애아동과 가청아동 모두 행동선택의 방향이 일치되지 않는 변이성이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도덕판단력에 따른 도덕성 발달 비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청각장애아동에게도 변이성이 나타나지만 ‘환자의 애원’을 제외하고 가청아동과 상반된 행동선택을 보이는 원인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로 도식 이론을 활용한 DIT에 대한 청각장애아동의 언어 도식 비활성화의 문제, 문해력 부족, 그리고 다양한 환경에 대한 경험의 부재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다.

This research applies the Defining Issues Test (DIT) fit for Korea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improving morality for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1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who were integrated into general schools and deaf and hearing-impaired schools in the 4th, 5th, 6th grade, and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and 118 children (without a hearing impairment) attending general schools. This research does not include students who have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hi-S q uare statistics, T-test, and the AN O VA test were used to compare two groups in choice of action and moral judgment 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also showed variability in the direction of behavioral choices for conflict situ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oral developmental comparisons according to the moral judgment power of the two groups. In this study, hearing impaired children, e x cept for “patients’ begging”, suggested reasons for choosing behavior opposite to that of the auditory child. Further, it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deactivation of language schemes for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the lack of literacy, and the lack of e x perience with various environments for DIT using the schema theory.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