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목민족의 생활문화 중에서도 차문화의 양상을 연구하여 새로운 관점을 제시 하는데 목적이 있다. 몽골을 비롯한 중앙아시아 지역에 거주하는 유목민들에 대한 미개한 민족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유목민들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합리적으로 생활의 문화를 지키고 차문화를 향유하는 방식과 지속되어온 관습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몽골의 칸은 좋은 물을 가려 차를 우려 마셨고, 삶을 유지하는 중요한 식품의 한 역할을 하는 등의 차를 마시고 활용하는 방식에서도 구체적이고 합리적이며 체계적인 질서를 가진 민족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aspect of tea culture among nomadic people s living culture and to present a new viewpoint. Admittedly, the nomads living in Central Asia, including Mongolia, are commonly perceived as uncivilized race. In an effort to present an alternative perspective, we examined the ways in which nomadic people harmonize with nature, rationally maintain the culture of life, and enjoy tea culture as well as the patterns of customs that have persisted. The Khan of Mongolia used clean water to make tea, and tea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food that maintains life. The Mongols was a people with concrete, rational, and systematic order in the way of drinking and using tea among others.
Ⅰ. 서 론
Ⅱ. 유목민족의 특성
Ⅲ. 유제품과 발효음료의 발달
Ⅳ. 유목민족과 차문화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