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4237.jpg
KCI등재 학술저널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Marriage and Couple Roles between Married Women Baby Boomers and Eco Boomers

DOI : 10.17997/SWRY.58.1.1
  • 280

본 연구는 여성가족패널 1차와 4차 자료를 활용한 연구로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및 결혼관과 부부역할인식 차이를 비교한 연구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파악을 위하여 사회학습이론을 이용한 부모의 자녀양육태도나 부부관계 등 청소년기의 부모관련 변인이 사용되었고 생태체계이론의 미시적 접근으로 현재의 배우자와의 관계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여성가족패널 4차 년도에 1955년에서 1963년도 생까지인 베이비붐 세대와 4차 년도에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세대인 에코 세대(1979년도부터 1992년도 생) 까지가 모두 포함되었다. 이중 연구대상은 배우자관련 변인으로 인하여 두 세대 중 결혼한 자들 만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 크기는 베이비붐 세대 1,118명이며 에코 세대 328명이다.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결혼관에의 영향 파악을 위해서는 회귀분석이 사용되었으며 결혼관 및 부부역할인식의 차이검증을 위하여는 t-test와 카이자승검증이 사용되었다. 결혼관과 부부역할인식이 세대차이인지 연령차이인지의 검증을 위해서는 연령을 공변량으로 하는 ANCOVA(공분산분석)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베이비붐 세대는 에코 세대보다 부모의 부부관계, 자신들의 부부관계, 결혼만족도가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낮았으나 교육, 직업, 어머니의 교육수준이나 가사분담만족이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높았다. 베이비붐 세대나 에코 세대의 부모의 부부관계가 좋은 것은 결혼은 반드시 해야한다는 전통적 결혼관에 영향을 미쳐 사회학습이론을 통한 결혼관에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부부관계가 좋을수록 베이비붐 세대나 에코 세대 모두 전통적 결혼관은 낮았는데 그만큼 양성평등적인 결혼관을 갖게 됨을 알 수 있으며 가족관련 가치관에서 생태체계론적 접근의 미시체계의 영향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marriage and couple roles and differences in th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marriage and couple role between women baby boomers and eco boomers using the first and the fourth wav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panel data of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s a theoretical model, social learning theory was used to find out whether parenting attitudes affected the perception of marriage. Additionally, ecological system theory was used to check whether spouse relation variables affected the perception of marriage. The target populations of this study were baby boomers who were born between 1955 and 1963 and eco boomers who were born between 1979 and 1992 in the fourth wave of the KLoWF panel data of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Since this study uses spouse variables, the target population was limited to only married persons.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1,118 for baby boomers and 328 for eco boomers. For data analysis t-test, χ2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Also, ANCOVA was used to find out whether differences were due to generation or ag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marit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household chores were higher for eco boomers than baby boomers. On the other hand, spouse relations and activities were higher for baby boomers. Both generations’ parent relations affected traditional marriage values, which supports the social learning theory. Also, when a woman has positive relations with their spouse, it reduces the traditional marriage value; this supports the micro-system of ecological system theory.

[Abstract]

I. Introduction

II. Theoretical Background and Literature Review

III. Methodology

IV. Research Results

V. Conclusions and Discussion

References

[국문요약]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