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mediating effect of permissible attitudes toward viol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of child abuse and child abuse perpetration among professional soldiers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58권
- : KCI등재
- 2018.09
- 31 - 50 (20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군인의 성장기 가정폭력 학대경험이 자녀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성장기에 부모로부터의 가정폭력 학대경험이 결혼 후 자녀폭력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있어서 폭력허용도의 매개경로를 파악하여 자녀폭력 가해에 대한 군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비확률 표집방법의 판단표집방법을 토대로 직업군인을 조사대상으로 2014년 육군 2개 부대, 해군 1개 부대, 공군 1개 부대를 방문하여 자기기입식방법으로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기혼 직업군인 301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부의 자녀폭력 가해의 경우 신체폭력률이 39.2%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직업군인의 성장기 가정폭력 학대경험과 자녀폭력 간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기 가정폭력 학대경험이 폭력허용도를 거쳐 자녀폭력으로 이어지는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군인의 가정 내 자녀학대 피해와 자녀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군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the impact of professional Korean soldiers’ early child abuse experiences on their likelihood to perpetrate child abuse and permissible attitudes toward child abuse as a mediator of this relationship were examined. Furthermore, welfare interventions within the military environment in Korea were explored. Data from 301 married professional soldiers who had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years were analyzed. Results revealed that 39.2% of the soldiers who had been victims of child abuse were likely to be perpetrators of child abuse; this is higher than previous findings (25.1%). The soldiers’ prior experience of being a victim of parental abuse had a direct impact on whether they became perpetrators of child abuse.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s and perpetration of child abuse is mediated by permissible attitudes toward child abuse. Thus,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should be implemented to prevent child abuse in professional soldiers’ families.
[Abstract]
I. Introduction
II. Methods
III. Results
IV. Discussion
References
[국문요약]